가. 일반조리과정 ① 팬에 물엿과 설탕, 물을 넣고 중불에서 1분정도 끓여 시럽을 만든다. ② 시럽에 잣을 넣고 고루 버무려가며 1분정도 조린다. ③ 스테인리스 조리대 위에 식용유를 바르고 도린 잣을 펼쳐 놓은 후, 밀대로 두께 0.5㎝ 정도로 민다. ④ 가로 2㎝ 세로 3정도로 썬다.
건강기능
『동의보감』에는 잣은 기혈을 보하고 폐 기능을 도와 기침을 멈추게 하고 내장 기능을 원활하게 한다.라고 했으며 허한 것을 보하고 여윈 것을 살찌게 한다.라고도 했다. 각종 비타민, 철분, 인, 칼슘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빈혈에 좋으며 영양가가 아주 높으니 허약체질인 사람이 보하는데 잣을 복용하면 도움이 된다. 옛말에 잣죽 3년이면 신선이 된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잣은 자양강장식품으로 인식되어왔고 예로부터 왕실에서도 왕의 기력보강을 위해 잣 술인 송자주, 백주를 담아 올렸다. 잣에 함유된 기름 즉 잣기름은 양질의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피를 맑게 해서 혈압을 내려주고 힘을 북돋워 주므로 심장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잣은 노인이나 병자에게 좋은 영양식품이며 고혈압이나 중풍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가 좋다. 또한 잣기름 성분에 피부를 아름답고 윤택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겨울철 피부가 건조해서 오는 각질, 피부 가려움증으로 고생하는 사람은 잣을 소량씩 꾸준히 섭취하면 피부에 윤기가 흐르고 영양상태도 좋아진다. 잣에 들어있는 양질의 지방 때문에 잣을 많이 먹을 경우 변비가 없어지는 등 배변이 부드러워지는데 평소 대변이 묽거나 설사가 잦은 사람은 잣을 많이 먹은 뒤 설사를 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Yellow food로 성인병을 예방하자 P55 심한 기침과 종기는 잣과 호두를 1:2 비율로 꿀에 타서 먹으면 심한 기침이 멎고, 잣알을 흰자위와 짓이겨서 종기에 붙이면 낫고, 잣알과 마인을 섞고 찧어서 환을 지어 먹으면 변비를 치료한다. 간장에 고여 있는 지방을 줄여주는 작용 잣 오일의 피노렌산은 강압효과를 지니고 있으면서 콜레스테롤을 줄이는 역할을 해주며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기 쉬운 예도 막아주며 이는 아주 귀중한 지방산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촉촉하고 윤택하며 아름다운 피부를 가꿔준다. 잣을 먹으면 거친 피부 잔주름, 피부의 트러블도 종합적으로 개선된다. 피부의 수분부족이 원인으로 생기는 노인성 피부소양증에도 잣은 효과를 발휘한다. 가려움이 줄어들고 피부증상이 개선된다. 그리고 한방에서 피부는 오장에 연결되어 몸의 안쪽에 있는 오장의 기능을 높임으로써 피부가 아름다워지고 건강도 유지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오장의 움직임을 보하는 작용, 즉, 잣은 피부에 직접 작용해서 윤기를 내게 할 뿐만 아니라 오장의 기능을 높이므로 피부를 아름답게 해주며 건강한 상태로 이끌어준다는 측면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 점이 화장품과 다른 점이며 보다 확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큰 이유로 생각된다. 지역특성화 보고서 3차년도 경기도 가평 잣박산 P3
식품특성
자양강장제 및 빈혈에 좋은 식품 자양강장제로 널리 알려진 잣은 맛이 고소해서 껍질을 까서 그냥 먹든지 잣죽이나 고명으로 많이 이용되며 칼로리가 높을 뿐 아니라 비타민 B군이 풍부하며 철분 또한 다량 함유되어 있어 빈혈에도 좋은 식품이다. 또한 병후 회복기에 먹으면 좋다. 잣은 지방, 단백질이 풍부한 고열량 식품이며, 특히 비타민 B가 풍부하고 지방은 불포화지방산으로서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한다. 지역특성화 보고서 3차년도 경기도 가평 잣박산 P3
어원유래
설탕과 물, 된 조청을 넣어 끓인 것에 고깔을 메고 닦아놓은 잣을 넣은 후 기름을 바른 판에 얇게 펴서 굳힐 것으로 잣박산은 경기도 가평의 향토음식이다. 전국 잣 생산 70%를 차지하고 있는 가평에서 잣의 특성을 살려 한과류인 잣박산을 만들어 명절 때나 귀한 손님을 대전할 때 다과상에 올렸다. 지역특성화 보고서 3차년도 경기도 가평 잣박산 P2
역사배경
잣은 해동 송자(동쪽 나라의 잣)라는 이름으로 옛날부터 고려 인삼과 함께 우리나라의 특산품으로 중국을 비롯해 서역 나라에까지 수출되었을 정도로 그 명성이 높았다. 명나라 때에는 신라 송자(신라 잣)라고 해서 가장 약효가 높은 것으로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는 책에 기록되어 있을 정도였다. Yellow food로 성인병을 예방하자 P54
참고문헌
1) 김동수, 지역 특성화 보고서 3차년도 경기도 가평 잣박산 2) 정경연, Yellow food로 성인병을 예방하자, 한맛한얼 제 1권 제 3호, 2008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