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건강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잣강정
  • 잣강정

    식품코드 103797
    분류 기호식 > 한과류 > 유밀과
    저자
    발행년도
    IPC
    DB구축년도
    키워드

h2mark 식재료

가. 주재료 : 찹쌀가루 10컵, 청주 1컵, 물 ½컵, 설탕 ½컵, 집청꿀 적당량, 강정고물(잣가루) 적당량

h2mark 조리법

① 잣강정을 만들기 위해서 먼저 강정을 만든다.
찹쌀을 씻어 1~2주일 정도 담가 두고 곰팡이 같이 흰 물질이 끼면 여러 번 씻고 헹구어 빻아 체에 내린다.
② 체에 내린 찹쌀가루에 소주, 설탕, 콩물을 타서 조금씩 넣고 주걱으로 고루 섞듯이 반죽한다.
③ 반죽은 덩어리로 뭉쳐지는 정도로 하면 알맞다.
찜통에 젖은 보를 깔고 반죽을 덩어리로 안쳐 푹 쪄내어 큰 그릇에 쏟아 방망이로 꽈리가 일도록 치댄다.
④ 안반에 마른 쌀가루를 뿌리고 반죽을 방망이로 밀어 0.5㎝ 두께로 편다.
⑤ 약간 굳은 다음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채반에 놓고 갈라지지 않을 때까지 말린 다음, 미지근한 기름에 5~10분 정도 담가둔다.
⑥ 이어 130~150℃ 정도 온도의 기름에 강정이 완전히 부풀어 오르도록 튀겨 기름을 빼 놓는다.
⑦ 튀겨낸 강정에 물엿이나 조청을 고루 바르고 잣 고물을 묻혀낸다.
두산백과, 잣강정,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35603&mobile&categoryId=200000399

h2mark 건강기능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잣은 기혈을 보하고 폐 기능을 도와 기침을 멈추게 하고 내장 기능을 원활하게 한다.라고 했으며 허한 것을 보하고 여윈 것을 살찌게 한다.라고도 했다.
각종 비타민, 철분, 인, 칼슘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특히 다른 견과류에 비하여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빈혈에 좋으며, 영양가가 아주 높으니 허약체질인 사람이 보하는데 잣을 복용하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인의 함량이 많고 칼슘의 함량이 적은 산성식품이기 때문에 해초, 우유 등 칼슘이 풍부한 식품과 함께 먹는 것이 좋다.
잣에 함유된 기름 즉 잣기름은 올레인산(oleic acid), 리놀산(linol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등 양질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피를 맑게 해서 혈압을 내려주고 힘을 북돋아 주므로 심장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잣에 풍부하게 포함된 마그네슘 역시 동맥을 이완시켜 혈압을 떨어뜨리며, 근육의 수축에 관여하는 칼슘이 혈관 벽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혈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잣기름 성분에 피부를 아름답고 윤택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겨울철 피부가 건조해서 오는 각질, 피부 가려움증으로 고생하는 사람은 잣을 소량씩 꾸준히 섭취하면 피부에 윤기가 흐르고 영양상태도 좋아진다.
잣에 들어있는 양질의 지방 때문에 잣을 많이 먹을 경우 변비가 없어지는 등 배변이 부드러워지는데 평소 대변이 묽거나 설사가 잦은 사람은 잣을 많이 먹은 뒤 설사를 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Yellow food로 성인병을 예방하자 P55 잣강정의 습기,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조섬유, 비섬유성 탄수화물의 구성 비율은 7.5%, 1.2%, 36.0%, 7.6%, 0.3%, 47.4%로 나타났다.
시판 한국전통음식의 영양학적 연구 P395-404

h2mark 식품특성

잣강정은 설탕과 물, 된 조청을 끓인 것에 고깔을 떼고 닦아놓은 잣을 넣은 후 기름을 바른 판에 얇게 펴서 굳힌 것이다.
지역특성화 보고서 3차년도 경기도 가평 잣박산 P2 강정은 찹쌀을 이용하여 만든 대표적인 한과로 만드는 모양이나 고물 이름에 따라 각각의 명칭이 다르며 제례, 혼례 및 대소연회 등의 전통의식과 세시음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강정은 『도문대작(屠門大嚼)』, 『규합총서(閨閤叢書)』, 『아언각비(雅言覺非)』, 『규곤시의방(閨是議方)』 및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등의 고문헌 및 기타 문헌에 따라 제조방법이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찹쌀을 물에 담가 삭힌 후 가루로 만든 다음 혼합과 찌기, 꽈리치기, 반대기 성형 및 건조, 기름에 튀겨 팽화시키기, 집청 및 고물 묻히기, 포장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제품화된다.
제품화된 강정은 튀기는 공정을 거치키 때문에 유지의 산패로 인하여 물리·화학적 반응에 의해 향미가 변하고 고유한 색의 변질 및 질감의 나빠지는 등의 품질 저하가 문제점으로 지적 되고 있다.
따라서 강정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패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산소와 빛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재의 선택, 제조공정의 최적화, 항산화제의 첨가 등의 대안이 요구된다.
잣은 씨눈이 붙어있지 않고, 표면에 상처가 많으며, 변색되지 않은 진노란 색 광택이 있는 잣이 국산 잣이므로 반드시 확인한 후 구매해야 한다.
식재료 규격 가이드 P169

h2mark 어원유래

강정의 유래는 한나라 때의 한구(寒具)에서 찾을 수 있는데, 당시 한나라에서는 아침밥을 먹기 전에 입맛을 돋우기 위하여 한구라는 음식을 먹는 습관이 있었다.
이후 진나라 때는 환병(環餠)이라 불렀고, 당나라 때에 이르러서는 그 모양이 누에고치 같다 하여 면견(麵繭)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널리 확산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그 이전의 강정은 건정, 면견이라고도 하고, 통일신라시대에는 면견에서 전래된 것이라 하여 견병이라 부르기도 했다.
http://k.daum.net/qna/view.htmlqid=00GEd

h2mark 역사배경

잣은 해동송자(海東松子)라는 이름으로 옛날부터 고려인삼과 함께 우리나라의 특산품으로 중국을 비롯해 서역 나라에까지 수출되었을 정도로 이름이 높았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신라송자(新羅松子)라 해서 사장 약효가 높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Yellow food로 성인병을 예방하자 P54 『아언각비(雅言覺非)』에서는 강정은 진한 술을 찹쌀가루에 타서 반죽하여 떡을 만들어서 가늘게 썰어 마르기를 기다려 기름에 띄우면 둥글고 크게 일어난다.고 하였고,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찹쌀가루를 술에 반죽하여 크거나 작게 잘라 햇볕에 말렸다가 튀기면 고치같이 부풀어 오르고 속은 비어 있다.
그것에 흰깨, 검은깨, 흰콩가루, 푸른 콩가루를 엿으로 붙인다.
5색 강정이 있고 또 잣가루를 묻힌 松子강정이 있다.
찰벼를 튀겨 꽃 모양을 만들고 엿으로 붙인 것은 매화강정이라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과류 제조, 가공기술 지침서 P5-6 민간에서는 강정을 기름에 지질 때, 바탕이 부풀어 오르는 높이에 따라 서로 내기하여 승부를 가리기도 하여 바탕을 만들 때에 종이에 관계(冠階)를 써넣고, 나중에 강정에서 나오는 종이의 품계에 따라 누가 더 높은가를 보는 놀이를 즐겼다고 한다.
1819년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서는, 인가(人家)에서는 선조께 제사를 드리는데 있어 강정을 으뜸으로 삼았다.라고 하였으며, 1849년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오색강정이 있는데, 이것은 설날과 봄철에 인가의 제물로 세찬으로 손님을 접대할 때는 없어서는 안 될 음식이다.라고 하였다.
약과, 강정, 약식, 오곡밥의 유래

h2mark 참고문헌

1) 식재료 규격 가이드, 한국식품연구원, 2010 2) 정경연, Yellow food로 성인병을 예방하자. 한맛한얼 1권 3호 3) 한과류 제조, 가공기술 지침서, 한국식품개발연구원, 1994 4) 계승희 외 1명, 시판 한국전통음식의 영양학적 연구, 한국영양학회논집 제20권 6호, 1987 5) 김동수, 지역특성화 보고서 3차년도 경기도 가평 잣박산 6) http://k.daum.net/qna/view.htmlqid=00GEd 7) 약과, 강정, 약식, 오곡밥의 유래 8) 두산백과, 잣강정,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35603&mobile&categoryId=200000399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8
동의보감 299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1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3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