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건강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망개떡
  • 망개떡

    식품코드
    분류 기호식 > 떡류 > 찐떡
    저자
    발행년도
    IPC
    DB구축년도
    키워드

h2mark 식재료

주재료 : 찹쌀 부재료 : 팥, 설탕, 꿀, 소금, 계핏가루, 청미래 덩굴잎

h2mark 조리법

① 팥은 물에 불려 쪄서 소금을 넣고 으깨어 체에 내려 고물을 만든다.
② 팥고물에 설탕과 꿀, 계핏가루를 넣고 버무려서 밤톨만 하게 소를 빚는다.
③ 찹쌀은 씻어 불린 후 찜통이나 시루에 충분히 쪄서 소금을 넣고 절구에서 차질 때까지 찧는다.
④ 찹쌀 반죽을 조금씩 떼어 둥글게 하여 도마 위에 놓고 얇게 밀어 ②의 소를 넣고 반달모양으로 빚는다.
지역특성화 보고서 2차년도 경남 의령 망개떡 P2

h2mark 건강기능

망개나무 잎은 수은 중독으로 인한 피부염(또는 만성 피부염), 풍습성 관절염, 연주창 감기, 감기, 신경통에 효과가 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성병치료에 탁월하여 매독, 임질, 태독, 약창에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간경, 위경에 작용하여 해열, 제습, 해독작용에 좋으며 간염, 지방간, 간경화 및 설사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항암본초(抗癌本草)』에는 위암, 식도암, 간암, 직장암, 자궁암 등에 효과가 있으며 빨갛게 익은 열매 및 덩굴도 함께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뿌리에는 사포닌(Saponin) 성분이 4% 정도 함유되어 있다.
땀을 흘리게 하여 소변을 잘 보게 하고 신장염, 방광염, 풍습관절염에 효능이 있고, 독을 풀며 피를 맑게 하는 약리작용이 있다.
지역특성화 보고서 2차년도 경남 의령 망개떡 P2-3

h2mark 식품특성

청미래 덩굴(망개나무, 매발톱가시, 명감, 명감나무 등)의 학명은 Smilax China L.이며 백합과로 생약명은 발계(), 토복령(土茯笭)이며, 덩굴성 관목으로 근경은 옆으로 꾸불꾸불 뻗으며 줄기는 단단하고 키 0.7~2m이다.
뿌리가 소나무의 복령을 닮았다고 하여 토복령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기부는 십장 형이다.
신선편이 망개떡 상품제조시설 자동화 구축을 위한 망개 잎 세척시스템 적용연구사업 P11 마디에 갈고리 같은 덩굴과 가시가 있어서 다른 나무에 기어오르거나 덤불을 이룬다.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내한성, 내음성, 내건성, 내조성이 강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역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다.
망개떡은 한여름(6~8월)의 신선한 망개잎을 따서 충분히 달여 찹쌀로 빚은 떡으로, 방부제 등의 첨가물을 전혀 쓰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전통적인 떡 맛을 가지고 있다.
신선편이 망개떡 상품제조시설 자동화 구축을 위한 망개 잎 세척시스템 적용연구사업 P11 망개떡은 유화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토속 음식의 특질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망개잎에서 나오는 상큼한 향과 더불어 떡의 부패를 막아주고 빨리 굳어지는 속도를 늦춰주는 작용을 한다.
일교차는 망개떡의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치는데 의령은 연평균 일교차가 12.1℃로 큰 편이다.
특히 활착, 휴면기와 생장·성숙기에 일교차가 커서 고품질 망개 잎 생산에 우수한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다.
일조시간은 생육과 구 비대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의령은 망개나무 휴면기인 1월에서 2월에 일조시간이 길어 월동관리가 수월하고 망개나무 잎의 성숙기인 4월에서 5월의 일조시간은 다소 긴 편이어서 생산의 적지이다.
망개나무는 내건성이 강하여,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로써 의령지방의 강수량을 살펴보면 연평균 117.4㎜로 부산지방에 비해 강수량이 적은 지방이지만 망개나무의 묘생 육기인 8∼9월의 강수량은 파종 전 토양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고 있어 망개나무 재배에 적지이다.
의령망개떡 지리적표시 P13-14

h2mark 어원유래

망개떡은 가야시대에 백제와의 적대관계를 해소하고자 서로 혼인을 맺었는데, 이때 신부 측인 가야에서 이바지 음식중의 하나로 백제에 망개떡을 보냈다는 최초의 유래가 있다.
또 다른 유래로는 임진왜란 시 의병들이 망개 잎을 이용해서 떡을 싸서 보관하여 산속으로 피해 다닐 때 전시식량으로 끼니 대신 먹던 떡으로 전래되었다는 것이 있다.
지금은 팥소를 넣은 떡을 망개잎에 감싸 만들어 망개떡으로 부르고, 의령에서 고유 전통을 살려 지금까지 제조하고 있다.
신선편이 망개떡 상품제조시설 자동화 구축을 위한 망개 잎 세척시스템 적용연구사업 P11

h2mark 역사배경

한의학에서 토복령(土茯笭)이라 불리는 청미래 덩굴은 지역에 따라 명감나무, 산귀래, 망개나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청미래 덩굴 잎으로 포장한 망개떡이 의령 일대 경상도의 전통음식으로 유명하며, 뿌리에는 전분이 많아 구황식물로 이용되기도 했다.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효과 P1133

h2mark 참고문헌

1) 김동수, 지역특성화 보고서 2차년도 경남 의령 망개떡 2) 권기현 외 5인, 신선편이 망개떡 상품제조시설 자동화 구축을 위한 망개 잎 세척시스템 적용연구사업, 한국식품연구원, 2010 3) 송희순 외 6명,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4) 의령망개떡 지리적표시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동의보감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