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헌에 보고되고 있는 다식의 종류는 수십 종에 달하나 이 중 검정 참깨를 주재료로 한 흑임자다식의 기록이 가장 많이 있다 검정 참꺠는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등이 필수지방산함량과 아미노산, 무기질, 토코페롤, β-sitosterol의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주된 활성 성분인 sesaminol과 lignan glucosides의 경우 여러 세포모델과 동물 실험 결과에서 t-butylhydroperoxide와 carbon tetrachloride 등 독성 화합물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생리 기능적으로도 우수하여 최근 식품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원료의 하나이다.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