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학술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포도
  • 포도

    식품코드 104634
    발행기관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학술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발행년 2009
    권호 17
    시작페이지 830
    종료페이지 838

h2mark 논문(문헌)명

Recovery of organic wastes in the spanish wine industry. Technic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nalyses of the composting process

h2mark 저자

Luz, R. 외 8명

h2mark 내용

포도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과일 중의 하나이다
국내 포도의 이용 실태를 보면 2001년 포도 총 생산량 454,000 ton 중 14,800 ton (총생산량 대비 3.3%)만 가공에 이용되고 나머지는 생식용으로 이용되어 타 국가에 비해 특이한 소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유럽이나 남미의 경우 생식용 20%, 가공용 80%) 이에 따라 작황이나 기타 외부 요인에 민감하게 소비시장이 움직이는 열악한 판매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1]
국내 포도가공 산업은 대부분 포도주, 포도즙, 포도잼에 국한되어 있으며 포도즙의 경우 가정이나 비인가 업소에서 한약 추출기를 사용하여 비위생적으로 생산되어 품질이 열악하다
더욱이 우리나라 기후적 특징 상 8, 9월에 포도수확이 집중되면서 생과용으로 일시에 출고되므로 가격 등락이 심하고 생산 농가들이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외국으로부터 생과가 수입되고 가공 투입량은 매년 줄어들어 포도가격은 더욱 하락하고 더불어 재배 면적이 감소되는 등 총체적인 포도 산업의 위기가 예상된다
따라서 고품질, 고부가가치 포도 가공품을 적극 생산하여 가공용 수요를 확대하고 국내 포도 산업의 안정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포도 가공 산업의 주 된 원료는 포도의 과육, 과즙이며 가공도중 발생되는 포도 과피, 포도씨, 포도송이가지는 사료용으로 소량 이용되거나 전량 폐기되고 있고 이를 처리하는 비용도 막대하다 [2]
특히 포도즙가공의 경우 이용률이 전체 중량의 약 70%로 나머지 전량은 폐기되므로 환경오염의 가능성도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생산 구조적 약점을 가지고 있는 포도에는 건강에 미치는 유익한 성분인, 전화당을 비롯한 유기산과 미네랄, 탄닌, 각종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한 포도송이 가지에 존재하는 미량 성분으로서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reseveratrol이 있으며, 포도과피에는 플라보노이드계 식물화학 성분인 anthocyan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3]
일반적으로 anthocyanin은 천연 항산화제로서 생명체의 노화와 질병을 유발하는 산화물질 (free-radical:자외선, 중금속, 활성산소, 아세테이트알디히드 등) 혹은 활성산소를 중화하거나 제거시키는 항산화 작용으로 피부 노화방지는 물론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근시, 원시, 난시를 비롯하여 야맹증, 안정피로, 중심 및 주변망막변성 등의 안과질환으로 인한 시력저하를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3]
포도과피에서 anthocyanin의 추출방법이 Sandra 등 [4]과 Mauro 등 [5]의 연구에 언급되어 있으나,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포도 과피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의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 다
또한 포도씨에는 oligomeric proanthocyanidins (OPCs) 이라는 항산화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포도 씨에 포함된 항산화제를 추출한 후 고부가가치의 식품첨가물 및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6,7]
본 연구에서는 포도과피 및 씨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 항산화 성분을 동정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화장품제형도 개발하였다.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3
동의보감 77
한방백과 9
학술정보 2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3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