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organic acids on the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lettuce
저자
Park BK 외 2명
내용
차아염소산수는 강산성, 약산성,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로 나누어지며, 식품첨가물공전에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와 화학적 합성품으로 등록되어 있어 식품용 기구 등의 살균소독 목적으로 사용[200 mg/L 이하(유효염소로서)]하거나 과실류, 채소류 등 식품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최종 식품의 완성 전에 중화 또는 제거하여야 한다(13) Park 등 (14)은 김치의 원부재료를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로 전 처리 하여 미생물의 저감에 관한 연구를 하였으나, 강산성 차아염 소산수는 강한 산성(pH 2.7 이하)과 높은 유효염소농도(20 ~60 ppm)의 특성이 있어 염소냄새가 강하고 부식성이 많으며 산화작용으로 갈변이 촉진되어 식품에 직접 접촉하면 품질에 영향을 끼쳐 식품에 적용하는 데 한계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미산성 차아염소산수(pH 5.0~6.5, 유효 염소농도 10~30 mg/L)는 무색, 무취, 무미로 식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보다 높거나 동 등한 살균 효능을 갖고 있어 최근에는 천연 살균제로서 미산 성 차아염소산수의 식품 적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5).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