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황제 시대로 부터 시작된 토기를 이용한 곡물 요리였다
농도에 따른 식단과 죽 또는 땅으로도 불렀었고 그 기능도 치료식, 보양식, 별미식, 대체식 또는 구황식이었다
쌀죽의 효능은 공복에 먹으면 누구에게나 좋고, 위장의 보호와 기운을 보전하고 진액이 생성될때 좋은 환자식이며 특히 위장병과 소화 불량에는 가장 효험있는 처방식이며 미음의 경우 피로와 소화가 되지 않는 여러 사람들을 위한 음료 역할을 했으며 암죽도 밥보다는 소화가 잘되는 형태로 이유식으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