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학술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생동쌀
  • 생동쌀

    식품코드 102441
    발행기관 한국식생활문학회
    학술지명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발행년 2007
    권호 22(6)
    시작페이지 730
    종료페이지

h2mark 논문(문헌)명

조선시대 밥류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대하 문헌적 고찰

h2mark 저자

복혜자

h2mark 내용

조밥은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조의 성질로는 약간 차고 맛이 짜며 독이 없고 신기(腎氣)를 양생(養)하고 비위(脾胃)의 열(熱)을 제거하여 소변을 원활하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지방질과 지방산 조성에 관한 분리동정 실험결과에서 중성지방이 72.4%, 당지질이 18.8%, 인지질이 8.8%나 동정 분리되어 쌀을 대신해 대체시킬 수 있는 곡식이지만 쌀처럼 부드럽지는 못하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식이 치료로 『식료찬요(食料贊要)』에서는 소갈(消渴)로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하려면 좁쌀로 밥을 만들어 먹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청량미로 밥을 해먹으면 위경련과 속을 다스린다고 나와 있고, 설사를 다스리기도 하며 소변을 잘나가게 하는데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서는 생동쌀이라고 표현하였다
『식료찬요(食料贊要)』에 속미(粟米)는 메좁쌀로 수록되어 있었고 신장의 기운을 북돋우기 위해서 좁쌀로 밥을 해먹으면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3
동의보감 12
한방백과 6
학술정보 3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1
문화정보
역사정보 2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