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학술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마
  • 식품코드 101357
    발행기관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지명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발행년 2015.1
    권호 25(5)
    시작페이지 880
    종료페이지 886

h2mark 논문(문헌)명

국내산 마 품종별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

h2mark 저자

김경미 외 4명

h2mark 내용

마는 주성분인 전분 외 단백질, 무기질등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약용성분으로는아밀로스(amylose), 콜린(cholin), 사포닌(saponin), 뮤신(mucin), 아르기닌(arginine), 디오스게닌(diosgenin)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Kum EJ et al 2006; KwonCS et al 2003; Son IS et al 2007), 성분중 하나인 arginine은 준필수아미노산으로서 혈관 내피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혈관반응성 조절물질을 생성하며(Lee J et al 2011), 증가된 물질은 혈소판과 혈관조직을 증식한다고 알려져 있다(Dohi YMet al 1995; Hambrecht RL et al 2000)
또한 사포닌은 인삼을 비롯해 더덕, 도라지 등에 많이 함유되어 항암작용, 항염증 작용, 용혈 및 자궁수축작용 등의 효능을 갖는다고 알려져있다(Park HJ et al 1998, Kwak YS et al 2008)
현재까지 보고된 주요 기능으로는 관절염 치료제의 원료,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종양효과, 면역조절효과, 인체 백혈병암세포주의 성장억제효과가 있다고 보고됐다.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
동의보감 25
한방백과
학술정보 8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1
역사정보 1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