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학술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마
  • 식품코드 101357
    발행기관 Korean J. Plant Res.
    학술지명 Korean J. Plant Res.
    발행년 2005
    권호 18(1)
    시작페이지 161
    종료페이지 168

h2mark 논문(문헌)명

Tuber enlargement and chemical components of yams (Dioscorea opposita Thunb.).

h2mark 저자

Chang, K.J., Park, B.J., Park, J.H., Kim, S.L. and Park, C.H.

h2mark 내용

마는 지하부인 괴경의 길고 짧음에 따라 장마와 단마로 구분하고 있으며, 원형형태의 마를 둥근마라고 부르고 있다 (Chang et al, 2005)
우리 나라에서 재배되는 마는 장마, 단 마 및 둥근마로서 충북 충주시와 경북 안동권, 그리고 경남 진주권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다
둥근마는 괴경이 형성 되는 심도가 낮아 장마와 단마에 비해 수확이 용이하고, mucin이라는 점액질이 장마와 단마에 비해 많고, 분말처럼 가공할 수 있는 특성이 우수하여(Chang et al., 2005), 국내 에는 경남 진주시 지수면, 산청군 생초면, 함양군 유림면, 충북 충주시 일대에서 재배가 되고 있다.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
동의보감 25
한방백과
학술정보 8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1
역사정보 1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