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醫寶鑑湯液篇獸部門』(동의보감.탕액편.수부문)에 기록된 돼지의 부위의 효능을 분류하면 補虛藥(보허약), 解毒藥(해독약), 淸熱藥(청열약), 芳香化濕藥(방향화습약), 安神藥(안신약), 瀉下藥(사하약)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 중에서 補氣藥(보기약)으로는 猪肝(돼지 간)을 이용하여 脾氣虛弱冷泄(비기허약 냉설), 痢疾(이질), 肝血不足目眩(간혈부족 현훈), 夜盲症(야맹증) 등에, 補血藥(보혈약)으로는 猪腸(돼지 간)과 猪腎(저신), 猪卵(저란)을 이용하여 腎虛弱耳聾(신허약 이롱), 腰痛(요통), 頻尿(빈뇨), 閉(융폐) 등에, 補陽藥(보양약)으로는 猪足(저족), 猪肉(저육)을 이용하여 津液不足(진액부족) 피부염, 虛弱筋骨諸般病症(허약근골 제반병증) 등에, 補陰藥(보음약)으로는 猪肉(저육)을 사용하여 虛弱疾患(허약질환)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처방으로 사용하지는 않았으나 猪頭(저두)나 猪血(저혈), 猪骨(저골), 猪膚(저부)는 그 효능에 대해 수록하고 있고, 오늘날 다양한 식품으로 상품화되어 있어 藥膳(약선)으로의 활용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