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채소
  • 채소

    식품코드 182012
    분류 기타 > 기타 > 기타
    문헌명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저자 서유구(徐有)
    발행년도 1835년경
    IPC A23L 1/315, A23L 1/39
    DB구축년도 2015

h2mark 식재료

[채소 (무청 배추 아욱 갓) 부재료] [소금 부재료] [기장가루 부재료] [보리누룩 부재료]

h2mark 조리법

1) 채소를 거둘 때는 좋은 것을 골라 부들로 묶는다.
2) 소금물을 짜게 하여 소금물 속에서 채소를 씻어 항아리 속에 넣는다.
3) 채소를 씻은 소금물은 가라앉혀 맑게 하여 항아리에 부어 채소가 잠기게 한다.
- 채소가 잠기면 다시 간을 하지 않아도 된다.
4) 무청과 촉개는 3일 후에 꺼낸다.
5) 기장가루로 죽을 쑤고 보리누룩을 가루로 하여 명주로 된 체에 친다.
6) 채소 한 층, 누룩가루 한 층, 죽 한 층 넣기를 계속하여 항아리를 가득 채운다.
7) 모아 두었던 소금물을 항아리에 부으면 색이 누렇게 된다.
- 무청, 배추, 아욱, 갓도 같은 방법으로 한다.

h2mark 원문명

저장채방 > 藏菜方 > 저장채방

h2mark 원문

蕪菁、、葵、蜀芥皆同。(案)此所謂,非指淹,藏菜法也。 收菜時,擇取好者,菅、蒲束之。作水,令極,於水中洗菜,納甕中。若先用淡水洗者,爛。其洗菜水,澄取者,瀉著甕中,令沒菜肥(把)止,不復調和。色仍,以水洗去汁,煮茹,與生菜不殊。 其蕪菁、蜀芥二種,三日抒出之。粉黍米,作粥;麥作末((案)《集韻》:音桓,女麴也,小麥之),絹篩。布菜一行,以末薄之,下熱粥。重重如此,以滿甕限。其布菜法:每行必莖葉倒安之。舊汁還瀉甕中。色黃而味美。 作淡菹,用黍米粥及麥末,味亦勝。《齊民要術》

h2mark 번역본

무청, 배추, 아욱, 촉개(갓)는 소금에 절이는 것이 모두 같다. (안)이것은 저로 엄저는 아니고 엄장채법이다. 채소를 거둘 때는 좋은 것을 골라 부들로 묶는다. 소금물을 짜게 하여 소금물 속에서 채소를 씻어 항아리 속에 넣는다. 싱거운 소금물로 씻으면 저가 문드러진다. 채소를 씻은 소금물은 가라앉혀 맑게 하여 항아리에 부어 채소가 잠기게 한다. 채소가 잠기면 다시 간을 하지 않아도 된다. 저의 색이 푸르게 되면 물로 소금기를 씻어 내고 삶아서 먹으면 생채소와 다름이 없다. 무청과 촉개 두 가지는 3일 후에 꺼낸다. 기장가루로 죽을 쑤고 보리누룩을 가루로 하여 명주로 된 체에 친다. ((안)《집운》:(훈: 누룩)은 桓(환)음으로 발음되는데 여국을 말하는것이다. 밀로 만든다.) 채소 한 층, 누룩가루 한 층, 죽 한 층 넣기를 계속하여 항아리를 가득 채운다. 모아 두었던 소금물을 항아리에 부으면 색이 누렇게 되며 맛이 좋은 담저가 된다. 《제민요술》

h2mark 조리기구

명주체

h2mark 키워드

저장채방, 藏菜方, 布菜法, 포채법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4
동의보감 30
한방백과
학술정보 3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3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