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미 2 말 <밑술> 주재료] [끓인 물 2 말 <밑술> 부재료] [누루가루 7 홉 <밑술> 주재료] [밀가루 7 홉 <밑술> 부재료] [백미 3 말 <덧술> 주재료] [찹쌀 3 말 <덧술> 주재료] [진달래꽃 <덧술> 주재료]
조리법
<밑술> 1) 정월 첫 해일에 백미 2½말을 깨끗이 씻어 물에 담갔다가 가루를 낸다. 2) 물기 없는 소래기에 가루를 담고 끓인 물 2½말을 고루 끼얹어 주걱으로 갠 다음 밖에 내어놓고 하룻밤을 재워 얼음 같이 차게 식힌다. 3) 가루누룩을 오래 삶아 치고 무수히 바랜 다음 가루를 낸다. 4) 누룩가루 7홉과 밀가루 7홉을 넣고 고루 버무린 다음 한참을 친다. 5) 깨끗이 우려낸 항아리에 짚불 연기를 쏘이고 술 버무린 것을 넣은 다음 항아리를 빈 가마니로 두르고 불기 없는 곳에 잘 둔다. <덧술>(3월에 진달래꽃이 많이 필 때) 1) 백미 3말과 찹쌀 3말을 깨끗이 씻어 하룻밤 재웠다가 찬물에 씻어 건져 잘 익게 쪄낸다. 2) 각각의 그릇에 헤쳐 놓아 한 김이 난 후 찬찬히 눌러가며 시루 물을 밥 위에 퍼 붓고 뚜껑을 덮어 오래 놓아둔다. 3) 술밥이 진 밥 같이 되면 헤쳐서 속속들이 식힌 다음 백미로 지은 밥과 찹쌀로 지은 밥을 각기 다른 그릇에 담고 술밑을 내어 버무린다. - 술밑이 부족하면 시루 물만 넣지 말고 물 6말을 끓여 식혀 버무린다. 4) 백미 밥 한 켜, 찹쌀 밥 한 켜, 진달래꽃 한 켜씩을 항아리에 단단히 눌러 가며 넣되 맨 위에는 백미 밥 버무린 것을 덮는다. 5) 끓인 물을 남겼다가 술 버무린 그릇을 헹구어 붓는다. 활짝 핀 진달래꽃을 꽃술이 없게 깨끗이 다듬고 술 1제에 꽃 1말을 넣는다. - 너무 많이 넣으면 술빛이 붉어서 좋지 않으므로 가운데에 조금씩 펴서 넣는다. 6) 21일이 지난 후에 열어 보고 꽃이 내려앉았으면 심지에 불을 켜서 독 안에 넣어 본다. 술이 덜 되었으면 불이 꺼지고 다 된 술은 불이 꺼지지 않는다. 7) 위를 얇게 걷어내어 가운데를 헤치면 청주가 솟아나고 밥알과 꽃이 잔뜩 뜨고 향취가 매우 좋다. - 사기병이나 질그릇병에 술을 담으면 맛이 변하므로 오지병에 담는다. - 밥을 잘 익게 쪄서 서늘하게 한 다음에 빚으면 쉴 염려가 없고 누룩을 잘 바래어 쓰면 잡맛이 없고 술 빛이 냉수 같이 맑다. <복숭아꽃술> 1) 밑술을 정월에 담가 두었다가 덧술은 복숭아꽃이 필 때 한다. 밑술은 백미 2½말로 담근다. 2) 덧술은 찹쌀과 백미 각각 2말, 가루누룩 1되, 밀가루 1되로 담근다. 3) 복숭아꽃 2되를 덧할 때 독 밑에 먼저 복숭아꽃을 버무려 넣고 나머지는 진달래꽃술과 같이 담그면 된다.
원문명
진달래꽃술 > 두견쥬법 > 두견주법
원문
두견쥬 랴면 졍월 첫 일의 미 두 말가오 세야 담가다가 작말여 쌀 되난 되로 물 두 말가옷 붓지게 혀 쇼라의 날물긔 업시 로를 담고 탕슈를 고로고로 여 언저 쥬걱으로 고 한 노하 로밤 거던 어름치 식은 후 로누록 밤 니 살마 쳐 무슈히 바여 말여 칠 홉 진말 칠 홉 너허 고로고로 버무려 쳐셔 졍히 울인 항의 집븐 쏘여 술 버무린 거살 이 너코 항을 공셕으로 둘너 화기 업 잘 두엇다가 삼월의 두견화 셩발 제 미 셔 말 졈미 서 말 셰여 담가다가 일야 후 찬물의 씨셔 건져 닉게닉게 여 각각 그르 헤치고 김 난 후 찬찬 눌너가며 시로물을 밥 우 즐즐게 퍼 부어 두에 덥허 이윽이 두엇다가 슐밥이 지은밥 거던 헤쳐 식이 슉슉드리 온긔 업거던 밥 밥을 각각 그르 담고 슐밋츨 여 버무려 슐밋치 부죡거던 시로물만 말고 덧 슈로 엿 말 물을 여 서늘게 식혀 슐밋 타며 버므려 메밥 케 밥 케 케식 항의 이 눌너 가며 너흐 후희 메밥 범므린 거살 덥니 힌 물 남겨다가 술 버무린 그르살 부싀여 붓고 두견화 쾌히 픤 거살 수울 업시 졍히졍히 다맛다가 슐 졔의 말이나 너흐라 너무 만도 슐이 불거 죠치 안이니 게 가은 쟉쟉 펴 너헛다가 삼칠이 지 후 들셔 보면 려 안거던 밤의 심지의 불 혀 독 속 너허 보면 데된 슐은 불이 지고 다 된 슐은 불이 안이 지니 우흘 녀래 거드면 가온를 헤치면 쳥쥬 용츌며 야미와 치 잠속 고 향 복욱야 가니라 병과 질병은 슐이 변미니 오지병의 도쳥면 무거온 밥낫과 밥풀 야미 거시라 흰 치 펴져 니라 범슐이 밥을 닉게닉게 셔여 비즈면 싈 념여 업고 누록을 잘 여 면 잡마시 업고 슐 비치 슈 고 슐의 잡 나기 그르 졍히졍히 씨셔 날물긔 업시 누슌 도쳥면 마시 쳥열고 변미 아닛나니라 도화쥬 밋도 졍월의 야 두고 덧 도화 밋 두 말가옷 뫼쌀노 고 덧 졈미 미 각각 두 말 가로누록 되 진말 되 들고 도화 두 되 덧 적 몬져 독 밋 너코 버무려 너흐 다른 거산 다 두견쥬와 독도니라
번역본
진달래꽃술을 빚으려면 정월 첫 해일에 백미 2½말을 깨끗이 씻어 물에 담갔다가 가루를 낸다. 물기 없는 소래기에 가루를 담고 끓인 물 2½말을 고루 끼얹어 주걱으로 갠 다음 밖에 내어놓고 하룻밤을 재워 얼음 같이 차게 식힌다. 가루누룩을 오래 삶아 치고 무수히 바랜 다음 가루를 낸다. 누룩가루 7홉과 밀가루 7홉을 넣고 고루 버무린 다음 한참을 친다. 깨끗이 우려낸 항아리에 짚불 연기를 쏘이고 술 버무린 것을 넣은 다음 항아리를 빈 가마니로 두르고 불기 없는 곳에 잘 둔다. 3월에 진달래꽃이 많이 필 때 백미 3말과 찹쌀 3말을 깨끗이 씻어 하룻밤 재웠다가 찬물에 씻어 건져 잘 익게 쪄낸다. 각각의 그릇에 헤쳐 놓아 한 김이 난 후 찬찬히 눌러가며 시루 물을 밥 위에 퍼 붓고 뚜껑을 덮어 오래 놓아둔다. 술밥이 진 밥 같이 되면 헤쳐서 속속들이 식힌 다음 백미로 지은 밥과 찹쌀로 지은 밥을 각기 다른 그릇에 담고 술밑을 내어 버무린다. 술밑이 부족하면 시루 물만 넣지 말고 물 6말을 끓여 식혀 버무린다. 백미 밥 한 켜, 찹쌀 밥 한 켜, 진달래꽃 한 켜씩을 항아리에 단단히 눌러 가며 넣되 맨 위에는 백미 밥 버무린 것을 덮는다. 끓인 물을 남겼다가 술 버무린 그릇을 헹구어 붓는다. 활짝 핀 진달래꽃을 꽃술이 없게 깨끗이 다듬고 술 1제에 꽃 1말을 넣는다. 너무 많이 넣으면 술빛이 붉어서 좋지 않으므로 가운데에 조금씩 펴서 넣는다. 21일이 지난 후에 열어 보고 꽃이 내려앉았으면 심지에 불을 켜서 독 안에 넣어 보되 술이 덜 되었으면 불이 꺼지고 다 된 술은 불이 꺼지지 않는다. 위를 얇게 걷어내어 가운데를 헤치면 청주가 솟아나고 밥알과 꽃이 잔뜩 뜨고 향취가 매우 좋다. 사기병이나 질그릇병에 술을 담으면 맛이 변하므로 오지병에 담는다. 밥을 잘 익게 쪄서 서늘하게 한 다음에 빚으면 쉴 염려가 없고 누룩을 잘 바래어 쓰면 잡맛이 없고 술 빛이 냉수 같이 맑다. 날물기 없는 그릇으로 여러 번 거르면 맛이 맑고 변하지 않는다. 복숭아꽃술 밑술도 정월에 담가 두었다가 덧술은 복숭아꽃이 필 때 한다. 밑술은 백미 2½말으로 담그고 덧술은 찹쌀과 백미 각각 2말, 가루누룩 1되, 밀가루 1되로 담근다. 복숭아꽃 2되를 덧할 때 독 밑에 먼저 복숭아꽃을 버무려 넣고 나머지는 진달래꽃술과 같이 담그면 된다.
조리기구
소래기, 주걱, 항아리, 짚, 가마니, 시루
키워드
진달래꽃술, 두견쥬법, 두견주법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