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멥쌀 5되를 빻아서 가루로 한다. 2) 끓는 물을 넣고 반죽하여 송병을 빚을 수 있을 정도로 한다. 3) 무회주 1사발을 넣고 잘 저어 작은 항아리에 담아 따뜻한 온돌 위에 하룻밤을 둔다. 4) 다음날 아침 열어 보면 부풀어 오른 것을 증편틀에 면포를 깔고 숟가락으로 떠서 고르게 편다. 5) 팥가루 껍질 벗긴 것, 꿀, 계핏가루, 후춧가루 등을 볶아 뭉친다. 6) 4) 위에 도토리 크기로 소를 놓고 다시 증편반죽을 덮는다. 7) 대추, 곶감, 잣 등을 썰어 가로 세로로 무늬를 새긴다. 8) 큰 시루에 증편틀을 5~6층씩 포개 놓아 시루를 덮어서 찐다.
멥쌀 5되를 빻아서 가루로 한다. 끓는 물을 넣고 반죽하여 송병을 빚을 수 있을 정도로 한다. 무회주 작은 사발로 1사발을 넣고 잘 저어 작은 항아리에 담아 따뜻한 온돌 위에 두는데 솜이불을 덮는다. 다음날 아침 열어 보면 발효되어 부풀어 오른다. 발효된 것을 증편틀에 면포를 깔고 숟가락으로 떠서 고르게 편다. 거피팥가루, 꿀, 계핏가루, 후춧가루 등을 볶아 뭉쳐 그 위에 도토리 크기로 소를 만들어 펴 놓은 증편반죽 위에 나란히 놓는다. 다시 숟가락으로 항아리 속 쌀가루 반죽을 따라내어 증편 속 위에 덮어 속이 안에 들어가게 하고 증편 즙이 겉에 덮이게 한다. 그런 다음 얇게 칼집을 낸다. 그 위에다가 대추, 곶감, 잣 등을 썰어 가로 세로로 무늬를 새기고 큰 시루에 증편틀을 5~6층씩 포개 놓아 시루를 덮어서 찐다. 《증보산림경제》 우리나라 증병의 유래는 오래되었다. 《제민요술》에서 말하는 배유가 이것이다. 촉나라 사람은 증병을 추라고 부른다. 《본초강목》에는 비장과 위장과 삼초를 조화시키고 소화가 잘 된다.고 했다. 《고사십이집》
조리기구
작은 항아리, 면포, 증편틀, 숟가락, 큰 시루
키워드
증병 만드는 방법, 蒸方, 증병방, 증병, 멥쌀, 무회주, 팥가루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