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당은 엿기름이나 곡아(芽)를 여러 가지 곡물과 함께 고아서 만든다. 곡아(芽)는 기장 싹이나 벼 싹 모두 엿을 고을 수 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보리 싹으로 만드는 것밖에 모른다. 《촉본초》 찹쌀, 멥쌀, 출속미(粟米, 차조), 출미(米기장), 대마자(大麻子, 피마자), 지구자(枳子, 헛개나무열매), 황정(黃精), 백출(白) 등으로 모두 달여 만들 수 있다. 찹쌀로 만든 이당만이 약으로 쓸 수 있고 좁쌀로 만든 것이 그다음이고 나머지는 먹을 수 있을 뿐 약으로 쓰이지 못한다. 《본초강목》
조리기구
키워드
조청, 飴方, 이방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