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약은 아교로 만드는 것이 좋다. - 아교를 얻기 힘들면 소가죽을 털과 기름을 제거하고 고아서 가라앉힌 다음 누린내 나지 않게 하여 엉기게 한다. 2) 황청이나 백청을 넣고 계피, 후추, 정향, 말린 생강을 곱게 빻아 넣는다. - 소가죽 곤 물이 1사발이면 꿀도 1사발 필요하다. - 계피는 많이 넣고 후추와 말린 생강은 조금만 넣으며 정향은 더 적게 넣는다. 3) 한소끔 끓여 맛이 우러나면 맛을 보는데, 더 맵게 하려면 말린 생강을 더 넣는다. - 정향을 많이 넣으면 맛이 떫고 쓰며, 말린 생강이 많이 들어가면 맵고 좋지 않으므로 적당히 넣고 끓인다. 4) 끓인 꿀을 돌그릇에 붓고 솥에 체를 받쳐 끓인 꿀을 부어 거품과 약재 건더기를 거른다. 5) 소가죽 곤 것을 1사발쯤 넣고 녹인 다음 싱거우면 꿀을 타고 너무 달면 소가죽 곤 물을 넣고 약한 불에서 한소끔 끓인다. 6) 엉기면 그릇에 옮겨 굳힌다. - 대추를 거피하여 삶아서 걸러 넣기도 하는데, 너무 많이 넣으면 전약의 빛깔이 검고 탁하게 되므로 안 넣어도 되고 넣더라도 조금만 넣는다. - 대추를 넣으려면 꿀을 끓일 때 넣고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체에 받친다. - 아교 전약은 질기나 이 전약은 연하다. - 원래 만드는 방법대로 약재를 넣되 약재가 많고 꿀이 적으면 좋지 않다. - 원래 계심을 사용하나 향기도 없고 맛이 쓰기 때문에 계핏가루를 사용하는 것만 못하다.
원문명
전약 > 젼약 > 전약
원문
야교로 거시 국 방문이오 됴흐니 아교 거시오 아교 엇기가 어렵거든 슉으레 털 업시 기고기 업시 고아 거여 누린 아니나미 바타 엉긔워 사발이면 사발이 드니 됴흔 황쳥이나 쳥이나 퉁노고의 히고 계피 호초 졍향 건강 셰말여 계피 만히 너코 호초 건강은 작게 너코 졍향은 더 쟉게 너허 소곰 히면 약 마시 화랍거든 맛보아 약 알마초 너허 게 거든 건강을 더 너코 졍향이 만흐면 고 쓰고 건강이 만흐면 고 됴치 아니니 마치 마초 약 너허 허 화합 후 돌그 쏫고 퉁노고의 체 다고 힌 을 바치면 거품과 약 건지 바쳐 후 불을 살으고 슉으레 고은 거 이 사발즘 헛거든 슉으레 사발을 녹여 너어 보아 승거오면 을 더 타고 과이 거든 슉으레 더 너코 한 소곰 히되 만화로 녹을 만치 혀 어긔워 보아 어거든 그만 여 그 퍼 엉긔라 대초 거피여 살마 걸너 너흐 만흐면 젼약 빗치 검고 탁니 아니 너허 롭디 아니코 너허도 쟉으마치 너흐라 너흐면 힐 제 너허 가지로 체의 바치게 라 아교젼약은 죵시 질긔고 이 젼약은 연고 본방로 약 너허 셔로 약 만고 이 젹어 됴치 아니니라 계심이 본방이로되 향긔 업고 계피 작말만 못니라
번역본
전약은 아교로 만드는 것이 좋다. 아교를 얻기 어려우면 소가죽을 털과 기름을 제거하고 고아서 가라앉힌 다음 노린내 나지 않게 하여 엉기게 한다. 소가죽 곤 물이 1사발이면 꿀도 1사발 드는데 좋은 황청이나 백청을 넣고 계피, 후추, 정향, 말린 생강을 곱게 빻아 넣는다. 계피는 많이 넣고 후추와 말린 생강은 조금만 넣으며 정향은 더 적게 넣는다. 한소끔 끓여 맛이 우러나면 맛을 보되 더 맵게 하려면 말린 생강을 더 넣는다. 정향을 많이 넣으면 맛이 떫고 쓰며 말린 생강이 많이 들어가면 맵고 좋지 않으므로 잘 맞춰 넣고 끓인다. 끓인 꿀을 돌그릇에 옮겨 붓고 솥에 체를 놓고 끓인 꿀을 부어 거품과 약재 건더기를 밭쳐낸 후 불을 넣인다. 소가죽 곤 것을 1사발쯤 섞어 녹인 다음 맛을 보아 싱거우면 꿀을 더 타고 너무 달면 소가죽 곤 물을 더 넣고 약한 불에서 한소끔 끓인다. 떠 보아 엉기면 그릇에 옮겨 엉기게 한다. 대추를 거피하여 삶아서 걸러 넣되 너무 많이 넣으면 전약의 빛깔이 검고 탁하게 되므로 안 넣어도 되고 넣더라도 조금만 넣는다. 대추를 넣으려면 꿀을 끓일 때 넣고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체에 밭친다. 아교 전약은 질기나 이 전약은 연하다. 원래 만드는 방법대로 약재를 넣되 약재가 많고 꿀이 적으면 좋지 않다. 원래 계심을 사용해야 하나 향기도 없고 맛이 쓰기 때문에 계핏가루를 사용함만 못하다.
조리기구
돌그릇, 솥, 체
키워드
전약, 소가죽, 꿀 1사발, 황청, 백청, 계피, 후추, 정향, 말린 생강, 대추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