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피 [밑술] 주재료] [멥쌀 2 말 [밑술] 5되 주재료] [누룩가루 5 되 [밑술] 주재료] [멥쌀 2 말 [덧술] 5되 주재료]
조리법
[밑술] 1) 오가피는 흐르는 물에 여러 번 깨끗이 씻어서 껍질을 벗기고 그늘에 말린다. 2) 말린 오가피는 유협도로 잘게 썬다. 3) 멥쌀 2말 5되는 깨끗이 씻어 불려서 가루로 빻는다. 4) 멥쌀가루에 끓는 물을 고루 붓고 개어서 범벅을 만든다. 5) 4)의 범벅은 차게 식혀서 누룩가루 5되를 넣고 고루 섞는다. 6) 항아리에 2)의 잘게 썬 오가피를 넣고 5)를 담는다. [덧술] 1) 밑술이 익어 고이면 멥쌀 2말 5되를 깨끗하게 씻어 불려서 푹 익도록 찐다. 2) 찐 고두밥은 차게 식힌다. 3) 밑술에 차게 식힌 고두밥을 넣고 고루 섞어서 익힌다. 4) 술이 익으면 맑은 술을 거른다.
원문명
오가피술 > 오가피쥬 > 오가피주
원문
오가피를 물을 흘 만히 벗겨 음건여 유협도의 긔 흐라. 독 밋 너코 닷 말랴면 반셰여 말여 범벅야 식인후 가로누록 닷되 셧거 비져 다 고이거든 남은 셰야 익긔 게 시겨 항수와 술물과 갓치 졍히 엿다가 닷케 더여 공심의 알초 먹으면 풍병과 반신불수를 곳칠 분니라 녯 윤공도와 쇼 이 이 술을 먹으니 나흔 삼식 살고 들을 셜흔식 나흐니라 ○오가피주 일명은 금염이요 일명은 문초니 우흐로 오셩 졍긔를 응고로 입피오출이니 고인이 왈, 만일 오가피 모숌을 어드면 금옥이 술에예 득 거슬 쓰지 아니니라 고 우왈 문쵸로 술을 면 금이 귀믈 니로지지지 못리라 니라.
번역본
오가피를 물을 흐르게 해서 많이 벗겨 그늘에 말려 유협도에 잘게 썬다. 항아리 밑에 넣고 쌀 5말을 반만 희게 쓸어 가루로 빻아 범벅 개여 쪄 식힌 후 가루 누룩 5되와 섞어 빚는다. 다 고이면 남은 쌀을 희게 쓸어 익게 쪄서 차게 식힌다. 항수와 한술물과 같이 잡아 깨끗이 하였다가 따뜻하게 데워 공심(空心)에 알맞게 먹으면 풍병(風病)과 반신불수(半身不隨)를 고칠 뿐만 아니라 옛날 윤공도와 맹작소란 사람이 이 술을 먹으니 나이 300살 살고 아들을 30명씩 낳았다. ○오가피주 다른 이름은 금염(金鹽)이요 또 다른 이름은 문장초(文章草)다. 위로 5개의 별의 정기(精氣)가 5개의 잎에 담겨져 있다. 말하기를 만일 오가피 1줌[一把](한 줌 안에 들어올 만한 분량의 길고 가느다란 량)을 얻으면 금과 옥이 수레에 가득한다 하여도 쓸데없다고 했다. 또 말하기를 문장초로 술을 빚으면 금을 귀하다고 이르지 못하리라 한다.
조리기구
유협도, 항아리
키워드
오가피술, 오가피쥬, 오가피주, 오가피, 멥쌀, 누룩가루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