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술] 1) 4~5월에 겉껍질을 벗긴 오가피 1근에 물 10병을 넣고 달여서 5병이 되게 한다. - 말린 것은 10냥을 쓴다. - 겨울에는 겉껍질과 함께 사용하되 양을 2배로 사용한다. 2) 백미 1말을 여러 번 씻어 가루를 낸다. 3) 위 1)의 오가피 달인 물 3병을 팔팔 끓여 백미가루를 넣고 골고루 버무려 식힌다. - 좋은 술을 만들려면 오가피 달인 물 2.5병을 쓴다. 4) 위 3)에 누룩가루 5홉, 밀가루 5홉, 술밑(부본) 1되를 함께 넣고 골고루 섞어 항아리에 담는다. [덧술] 1) 술이 숙성되면 백미 2말은 여러 번 씻어 쪄서 익힌다. 2) 찐 밥에 오가피 달인 물 6병을 넣고 골고루 섞어 식힌다. 3) 위 3)과 앞서 만든 밑술을 넣고 섞어 항아리에 담는다. - 술이 익으면 술주자에 올려 거른다. - 많은 양의 쌀로 술을 빚는 경우에도 오가피 달인 물은 위의 비율에 따라 한다. - 물을 섞어 버무릴 때는 절대로 다른 물을 써서는 안 된다. <소주(노주) 만들기> 1) 백미 1말은 여러 번 씻어서 찌고 익으면 식힌다. 2) 찐 밥에 누룩가루 4되와 오가피를 달인 물 4~5병을 붓고 고루 비벼 섞어 항아리에 담는다. 3) 술이 익으면 달여서 소주(노주)를 내린다. <오가피술 빚기> 1) 찹쌀 5되를 여러 번 씻어 찌고 익으면 식힌다 2) 위 4)의 식힌 밥에 누룩가루 7홉과, 오가피 달인 물 3병을 넣고 골고루 비벼 섞어서 항아리에 담는다. 3) 술이 숙성되어 술 맛이 약간 달고 많이 독해지면 앞서 만든 소주(노주)를 붓고 기름종이로 단단히 밀봉한다. - 약간 따뜻한 곳에 두어 7~8일 정도 지나면 술주자에 올려 거른다.
4~5월에는 겉껍질을 벗긴 오가피(五加皮)를 1근이나 말린 것 10냥, 겨울에는 겉껍질이 있는 것을 배(倍)로 사용한다. 물 10병을 넣고 달여서 5병이 되게 한다. 백미(白米) 1말을 여러 번 씻어 가루를 낸다. 오가피 달인 물 3병을 팔팔 끓여 백미가루를 넣고 같이 버무려 식힌다. 좋은 술을 만들려면 <오가피 물> 2병 반을 쓴다. 누룩가루 5홉, 밀가루 5홉, 부본(腐本, 술밑) 1되를 골고루 섞어 항아리에 담는다. 푹 익힌 다음 백미(白米) 2말을 여러 번 씻어 쪄서 익히고 오가피 물 6병으로 골고루 섞어 식힌다. 밑술과 같이 섞어 빚어 익으면 술주자에 올려[上槽] 거른다. 비록 많은 양의 쌀로 빚더라도 오가피 달인 물을 사용하는데는 이 비율에 따라 한다. 뿐만 아니라 물을 섞어 버무릴 때는 절대로 다른 물을 써서는 안 된다. 백미(白米) 1말을 여러 번 씻어 <쪄서 식힌다>. 누룩가루 4되를 넣고 오가피(五加皮)를 달인 물 4~5병으로 술을 빚어 달여서 노주(露酒: 소주)를 만든다. 또 찹쌀 5되를 여러 번 씻고 <쪄서 식힌다>. 씻은 누룩가루 7홉을 넣은 다음 오가피 달인 물 3병으로 술을 빚는다. 술 맛이 약간 달고 많이 독해지면 노주(露酒: 소주)를 그 속에 붓고 기름종이로 단단히 밀봉해서 약간 따뜻한 곳에 두었다가 7~8일이 지나면 술주자에 올려[上槽] 거른다. 옛사람들이 말하기를 한 묶음의 오가피를 얻을지언정 금옥만차(金玉滿車: 수레에 가득한 금과 은)를 쓰지 않는다고 했다. 또 문장(文章: 오가피의 다른 이름은 문장초라고 함)으로 빚은 술에는 금도 귀하다고 말할 수 없다고 했다. 오가피(五加皮)는 상등품의 약초이다.
조리기구
항아리, 기름종이
키워드
오가피주, 五加皮酒, 오가피, 백미, 누룩가루, 밀가루, 술밑, 부본, 노주, 소주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