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엿
  • 식품코드 103669
    분류 기호식 > 한과류 > 기타
    문헌명 수운잡방(需雲雜方)
    저자 김유(金綏)
    발행년도 1500년대 초
    IPC A23G 3/00, A23L 1/10
    DB구축년도 2012

h2mark 식재료

[쌀 1 되 주재료] [물 10 사발 부재료] [보리엿기름 1 되 주재료] [냉수 부재료] [삭힌 밥 부재료] [밀가루 부재료] [달인 엿 부재료]

h2mark 조리법

1) 쌀을 깨끗이 씻어 질게 밥을 짓고 식기 전에 항아리에 담는다.
2) 밥 짓던 솥에 깨끗한 물을 팔팔 끓여 밥 위에 붓는다.
3) 보리엿기름 고운가루와 냉수를 섞어 항아리에 붓고 나무막대기로 고루 저어 따뜻한 곳에 놓아 두텁게 싸서 덮는다.
4) 3)의 삭힌 밥을 맛을 보아 달면 좋은 것이고 - 맛이 시면 질이 낮은 것인데 너무 오래 싸서 두었기 때문이다.
5) 삭힌 밥을 보자기에 싸서 즙을 걸러내어 솥에 붓고 뭉근한 불로 천천히 달인다.
5) 막대기로 저어주면서 솥에 눌어붙지 않도록 한다.
6) 색깔이 누르스름한 붉은 색이 나면 밀가루를 쟁반에 뿌리고 그 위에 달인 엿을 쏟아놓는다.
7) 엿이 응고되면 잡아당겨 흰 색이 날 때 까지 당겨주면 엿이 완성된다.

h2mark 원문명

엿 만드는 법 > 飴 > 이당

h2mark 원문

今飴家所用良法。 中米一升洗爛作飯,乘熱盛缸,於炊飯鼎,水十鉢沸湯注其飯,秋蘖細末一升,冷水和之,瀉於缸,以木均攪之,置,以衣厚,待二炊飯,頃嘗其味,則甘上,稍酸則下,久置故也,須酌宜以布絞取汁寫鼎,以微火煎之,數攪之,不攪則煎付鼎底,色黃紅則用末布盤上,寫於上待凝引之,色白限。

h2mark 번역본

현재 엿도가에서 쓰고 있는 좋은 법이다. 중미 1되를 깨끗이 씻어 뭉그러지게 밥을 짓고 식기 전에 항아리에 담고 곧바로 밥 짓던 솥에 깨끗한 물 10사발을 팔팔 끓여 밥 위에 붓는다. 가을 철 보리엿기름을 곱게 가루 낸 것 1되와 냉수를 섞어 항아리에 붓고 나무막대기로 고루 저어 온돌에 놓고 동옷(남자가 입는 저고리)으로 두텁게 싸서 덮는다. 두 식경 정도 지날 때 쯤 맛을 보아 달면 상등품이고 맛이 조금 시면 하등품인데 이는 너무 오래 싸서 두었기 때문이다. 양을 짐작해서 보자기에 싸서 즙을 걸러내어 솥에 부은 후 약한 불로 천천히 달인다. 막대기로 자주 저어주면서 솥에 눌어붙지 않도록 한다. 색깔이 누르스름한 붉은 색이 나면 밀가루를 쟁반에 뿌리고 그 위에 달인 엿을 쏟아놓는다. 엿이 응고되면 잡아당기는데 흰 색이 날 때 까지 당겨주면 엿이 완성된다.

h2mark 조리기구

항아리, 솥, 막대기, 쟁반

h2mark 키워드

엿 만드는 법, 飴, 이당 , 엿, 엿도가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2
동의보감 345
한방백과 6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4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