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 1> 1) 암탉을 깨끗하게 씻고 소고기 덩이 큰 것 하나를 많이 씻어 피를 빼낸 다음 물을 많이 붓고 닭과 함께 삶는다. 2) 두부를 단단하게 눌러 자르되 길이는 8~9푼이 되게 하고 너비는 2~3푼이 되게 자른 다음 소금을 조금 쳐도 좋고 치지 않아도 무방하다. 3) 부침개용 뚜껑을 숯불 위에 놓고 기름을 치고 두부를 안팎으로 지진 다음 먼저 삶은 소고기는 내어 쓰지 않고 즙에 지진 두부를 넣는다. 4) 장을 알맞게 치고 생강, 파, 표고버섯, 석이버섯을 다 가늘게 썰어 넣는다. 5) 즙을 조금 떠내어 밀가루를 조금만 풀어 넣고 달걀을 깨뜨려 숟가락으로 저어 급히 즙 속에 붓고 잘 휘저어서 고르게 한 다음 다시 조금 더 끓인다. 6) 닭 삶은 것을 실처럼 뜯고 달걀을 희고 누른 것을 나누어 지져 실처럼 썬 다음 닭과 함께 버무려 대접에 가득히 담고 고명을 얹어 먹는다. 7) 또는 지진 두부를 3~4 조각씩 대꼬챙이에 꿰어 즙에 담가 먹는다. <방법 2> 1) 두부를 단단하게 하여 작게 자르고 꼬챙이에 3~4 개씩 끼워놓는다. 2) 새우젓국에 물을 타서 솥이나 냄비에 붓고 끓인 다음 헝겊 조각을 그 위에 펴서 젓국물이 위로 스며 나오도록 한다. 3) 두부를 끼운 꼬챙이를 그 가운데에 놓고 삶아서 살짝 익으면 꺼내 먹되 굴과 생강을 다져 넣고 두부와 같이 먹으면 연하고 맛이 매우 좋다. <방법 3> 1) 두부를 볕에 바싹 말려 가루를 만들고 물을 섞어 고운 헝겊에 싸서 짠다. 2) 다시 끓인 다음 간수를 쳐서 엉기게 하고 맑은 장물에 삶되 생강과 후추를 보자기에 싸서 함께 넣는다.
이 국은 정말 먹을 만하다. 겨울에는 쇠고기가 돼지고기만 못하고 돼지고기는 꿩고기만 못하고 꿩고기는 닭고기만 못하다. 암탉을 깨끗하게 씻고 소고기 덩이 큰 것 하나를 많이 씻어 피를 빼낸 다음 물을 많이 붓고 닭과 함께 삶는다. 두부를 단단하게 눌러 자르되 길이는 8~9푼이 되게 하고 너비는 2~3푼이 되게 자른 다음 소금을 조금 쳐도 좋고 치지 않아도 무방하다. 부침개용 뚜껑을 숯불 위에 놓고 기름을 치고 두부를 안팎으로 지진 다음 먼저 삶은 소고기는 내어 쓰지 않고 즙에 지진 두부를 넣는다. 장을 알맞게 치고 생강, 파, 표고버섯, 석이버섯을 다 가늘게 썰어 넣는다. 즙을 조금 떠내어 밀가루를 조금만 풀어 넣고 달걀을 깨뜨려 숟가락으로 저어 급히 즙 속에 붓고 잘 휘저어서 고르게 한 다음 다시 조금 더 끓인다. 닭 삶은 것을 실처럼 뜯고 달걀을 희고 누른 것을 나누어 지져 실처럼 썬 다음 닭과 함께 버무려 대접에 가득히 담고 고명을 얹어 먹는다. 또는 지진 두부를 3~4 조각씩 대꼬챙이에 꿰어 즙에 담가 먹는다. 또 다른 법은 두부를 단단하게 하여 작게 자르고 꼬챙이에 3~4개씩 끼워놓는다. 새우젓국에 물을 타서 솥이나 냄비에 붓고 끓인 다음 헝겊 조각을 그 위에 펴서 젓국물이 위로 스며 나오도록 한다. 두부를 끼운 꼬챙이를 그 가운데에 놓고 삶아서 살짝 익으면 꺼내 먹되 굴과 생강을 다져 넣고 두부와 같이 먹으면 연하고 맛이 매우 좋다. 또 다른 법은 두부를 볕에 바싹 말려 가루를 만들고 물을 섞어 고운 헝겊에 싸서 짠다. 다시 끓인 다음 간수를 쳐서 엉기게 하고 맑은 장물에 삶되 생강과 후추를 보자기에 싸서 함께 넣는다. 이 방법은 길에 가다가도 만들 수 있을 만큼 만드는 법이 쉽다. 연포국 만드는 방법이 여러 가지 많으나 속담에 상여꾼이 연포국에 반한다라고 하는 말은 주로 초상이 난 상가집에서 연포국을 많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먼저 살코기를 잘게 썰고 무와 파 밑동도 얇게 썬 다음 기름과 맑은 장을 짜게 치고 합하여 한참을 주무른 다음 솥에 넣는다. 물을 조금 치고 한참 볶다가 물을 많이 붓고 끓이되 햇 다시마 두꺼운 것을 통으로 넣고 두부를 안팎이 누르게 지져서 톡톡 찢어 넣는다. 모두 다 끓인 후에 다시마는 건져내어 다시 찢어 넣고 국을 퍼서 밥을 말아 먹는다. 상가에서 손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여럿이 먹기에 편리하다.
조리기구
숟가락, 부침개용 뚜껑
키워드
연포국(軟泡湯), 연포탕 , 암탉, 소고기, 닭, 두부, 소금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