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육 2 근 주재료] [생선 10 마리 주재료] [닭 1 마리 주재료] [건강 5 홉 주재료] [전복 1 되 주재료] [메주 1 말 주재료] [꿩 1 마리 주재료] [소금 5 되 부재료] [마늘 2 톨 부재료] [고추 10 개 주재료] [물 3 말 <소두> 부재료]
조리법
재료 둔육 두 근, 생선 열 마리, 닭 한 마리, 건강 오 홉, 전복 한 되, 메주 한 말, 꿩 한 마리, 소금 다섯 되, 마늘 두 톨, 고추 열 개, 물 세 말<소두> 1) 좋은 콩을 타지 않게 볶아 맷돌에 타서 껍질을 까불린다. 2) 1)을 솥에 넣고 물을 붓고 삶아서 소쿠리에 담는다. 3) 삶은 콩을 짚으로 깔고 덮어 더운 곳에 하루나 이틀쯤 둔다. 4) 진이 나고 잘 뜨면 꺼내 볕에 펴 널어 하루쯤 볕을 쐰 후 자루에 넣어 느슨하게 매어놓는다. 5) 꿩과 닭을 준비해서 기름기 조금도 없는 살코기와 함께 솥에 넣는다. 6) 전복을 씻어 고기와 한데 넣고 물을 넉넉히 붓고 푹 삶아 놓는다. 7) 생선은 대구나 민어나 도미처럼 기름기 없는 생선으로 비늘을 긁고 내장을 꺼내고 잘 씻는다. 8) 씻은 생선을 둘로 갈라 소금을 약간 뿌려 뿌득뿌득 말려 놓는다. 9) 소금물을 간 맞추어 타서 펄펄 끓여서 식힌 후 체에 받쳐 고기 삶은 물과 한데 섞어 놓는다. 10) 독을 깨끗하게 씻어서 삶은 고기와 닭과 꿩을 넣고 생선 말린 것을 넣는다. 11) 소금물를 부은 후 자루를 독에 넣고 마늘과 통고추를 넣고 잘 봉한다. 12) 일주일쯤 지나서부터 먹기 시작한다.
원문명
어육장 > 어육장(사철) > 어육장(사철)
원문
재료 둔육 두근 생선 열마리 닭 한마리 건강 오홉 전복 한되 메주 한말 꿩 한마리 소금 닷되 마늘 두톨 고추 열개 물 서말(소두) 1. 좋은 콩을 타지 않게 볶아서 맷돌에 타서 껍질을 까불어내고 이것을 솥에 넣고 물을 붓고 삶아서 소쿠리에 같은데 담고 짚으로 깔고 덮고 해서 더운곳에 하루나 이틀쯤 두었다가, 2. 진이 나고 잘 뜨거든 꺼내어 볕에 펴널어 하루쯤 볕을 쐬어가지고 자루에 넣어 허순하게 매어놓고, 3. 꿩과 닭을 준비해서(닭잡는법을참고할것) 기름ㅅ기 조금도 없는 살코기와 함께 솔에 넣고, 4. 전복을 씻어서 고기와 한데 넣고 물을 넉넉히 붓고 푹 삶아놓고, 5. 생선은 대구나 민어나 되미나 이렇게 기름ㅅ기 없는 생선으로 비늘을 긁고 내장을 꺼내고 잘 씻어서 둘에 쪼개어 소금을 약간 뿌려 뿌득뿌득 말려놓고, 6. 소금물을 간 맞추어 타서 펄펄 끓여서 식혀가지고 체에 바쳐서 고기 삶은 물과 한데 석어놓고, 7. 독을 정하게 씻어서 삶은 고기와 닭과 꿩을 넣고 생선 말린것을 넣고, 8. 소금물를 부은 후에 쟈루를 독에넣고 마늘과 통고추를 넣고 잘 봉해서 두었다가 일주일쯤 지나서부터 먹기 시작하느리라.
번역본
재료 둔육 두 근, 생선 열 마리, 닭 한 마리, 건강 오 홉, 전복 한 되, 메주 한 말, 꿩 한 마리, 소금 다섯 되, 마늘 두 톨, 고추 열 개, 물 세 말<소두> 1. 좋은 콩을 타지 않게 볶아서 맷돌에 타서 껍질을 까불어내고 이것을 솥에 넣고 물을 붓고 삶아서 소쿠리에 같은데 담고 짚으로 깔고 덮고해서 더운 곳에 하루나 이틀쯤 두었다가, 2. 진이 나고 잘 뜨거든 꺼내어 볕에 펴 널어 하루쯤 볕을 쐬어 가지고 자루에 넣어 허순하게 매어놓고, 3. 꿩과 닭을 준비해서 기름기 조금도 없는 살코기와 함께 솥에 넣고, 4. 전복을 씻어서 고기와 한데 넣고 물을 넉넉히 붓고 푹 삶아놓고, 5. 생선은 대구나 민어나 도미나 이렇게 기름기 없는 생선으로 비늘을 긁고 내장을 꺼내고 잘 씻어서 둘에 쪼개어 소금을 약간 뿌려 뿌득뿌득 말려놓고, 6. 소금물을 간 맞추어 타서 펄펄 끓여서 식혀가지고 체에 받쳐서 고기 삶은 물과 한데 섞어놓고, 7. 독을 깨끗하게 씻어서 삶은 고기와 닭과 꿩을 넣고 생선 말린 것을 넣고, 8. 소금물를 부은 후에 자루를 독에 넣고 마늘과 통고추를 넣고 잘 봉해서 두었다가 일주일쯤 지나서부터 먹기 시작한다.
조리기구
맷돌, 솥, 소쿠리, 자루, 독
키워드
어육장, 사철, 메주, 생선, 닭, 전복, 둔육, 소금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