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술> 1) 멥쌀 25되를 끓인 다음 곱게 빻아 가는 체로 친다. 2) 물을 세차게 끓여 25식기 가량을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게하여 망울없이 반죽한다. 3) 2)를 식힌 후 누룩 1주발 1탕기, 밀가루 1식기를 넣고 골고루 버무린다. 4) 항아리에 짚 냄새를 쏘이고 밑술을 넣는다. 5) 덥지도 차지도 않은 곳에 둔다. <덧술> 1) 20일 후에 멥쌀 30식기, 찹쌀 30식기에 물을 넣고 각각 희게 쓿어 찌고 식힌다. - 메밥은 물을 많이 넣어 질게 찐다. 2) 끓인 물 62식기를 하룻밤 재운 후 밑술에 넣고 1)도 넣어 고루 섞는다. 3) 항아리에 짚 냄새를 쏘이고 2)를 넣는다. 4) 김나지 않게 항아리 입구를 봉하여 덥지도 차지도 않은데 둔다. 5) 술이 다 되면 가라 앉을 만큼의 용수를 박는다.
원문명
약주 > 별별약쥬법이라 > 약주
원문
멥살 슈물 다셧 되을 희계 씰러 담가다가 곱게 아 가는 쳬로 쳐서 물 맛 죠흔 것스로 고부지계 려 슈물다셧 식기을 듭도 도 안케 여 망올 업시 반쥭 후 온긔 읍시 식이여 누룩 쥬발 탕긔 진말 식긔 넉코 고로 버물리여 군읍은 항아리 집 쏘이여 그 항아리의 너허 덥도 도 안이 두엇 이십일 만의 멥살 셔른 식긔 찹살 셔른 식긔 희계 씰러 되 각 죠흔 물의 계 고 메밥은 물 만이 려 질계 셔 더운 긔운 읍시 식인 후 죠흔 물 고부지계 려 로 밤 운 후의 예슌 두 식긔을 여흐되 찹살밥과 멥살밥 밋쳘 여 고로 셕거 버무려 알마진 항아리의 군 읍시 집쏘이여 넉코 짐 아니 나계 부리을 봉여 덥도 도 안이 두고 슐이 다 되면 폭 가라 안 나이 용슈 박어 먹니 밋쳘오 둘록 조흐이라 봄이면 피기 젼의 밋여가 덧틀 졔 두견화 약간 셕거 면 듀견쥬요 여름의소쥬 식기 더면 과하쥬요 송슌을 약간 너흐면 송슌쥬요 이 슐은 날물이 안이 든 슐인고로 치담고 두통이 업이라.
번역본
멥쌀 25되를 희게 쓿어 담갔다가 곱게 빻아 가는 체로 쳐서 물 맛 좋은 것으로 굽이치게 끓여 25식기를 덥지도 차지도 않게 하여 망울 없이 반죽한 후에 온기 없이 식혀 누룩 1주발 1탕기, 밀가루 1식기 넣고 골고루 버무린다. 군내 없는 항아리에 짚 냄새 쏘이어 <밑술을> 항아리에 넣고 덥지도 차지도 않은 데 두었다가 20일만에 멥쌀 30식기, 찹쌀 30식기 희게 쓿어 찌되 각각 좋은 물에 찌게 하고 메밥은 물 많이 뿌려 질게 쪄서 더운 기운 없이 식힌 후 좋은 물 굽이치게 끓여 하룻밤 재운 후에 62식기를 <밑술과> 함께 넣되 찹쌀밥과 멥쌀밥 밑도 넣고 골고루 섞어 함께 버무린다. 알맞은 항아리에 군내 없이 짚 냄새 쏘이어 <밑술과 덧술 합한 것을> 넣고 김나지 않게 부리를 봉하여 덥지도 차지도 않은 데 두고 술이 다 되면 푹 가라앉을 만큼 용수 박아 떠먹는데, 술밑을 오래 둘수록 좋다. 봄이면 꽃 피기 전에 밑술을 하였다가 덧술을 만들 때 두견화 약간 섞어 만들면 두견주, 여름에 소주를 식기로더 넣으면 과하주, 송순을 넣으면 송순주이다. 이 술은 끓이지 않은 물이 들지 않은 술이므로 마시면 치담과 두통이 없다.
조리기구
가는 체 항아리, 짚, 용수
키워드
약주, 별별약쥬법이라, 멥쌀, 끓인 물, 누룩, 밀가루, 찹쌀, 별별약쥬법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