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 2 개 주재료] [황화채 조금 주재료] [숙주 1 사발 주재료] [계란 2 개 주재료] [미나리 썬 것 1 사발 주재료] [고기 0.5 근 주재료] [파 4 개 주재료] [두부 조금 주재료] [표고 3 개 주재료] [후추 조금 주재료] [목이 6 개 주재료] [깨소금 1 숟가락 주재료] [버섯 3 개 주재료] [간장 1 종자 주재료] [숭어 1 개 주재료] [물 3 사발 주재료] [국수 (또는 흰떡) 주재료]
조리법
1) 무를 잘게 채치고 숙주는 꼬리를 따서 씻고 미나리는 한 치 길이씩 잘라 씻어 놓는다. 2) 파는 한 치 길이로 잘라 채치고 표고, 목이버섯, 석이를 불려서 깨끗하게 씻어 골패 쪽만큼씩 썰어서 꼭 짜가지고 기름에 볶는다. 3) 알고명은 황백미를 따로 부쳐서 골패 쪽 만큼씩 썬다. 4) 위에서 준비한 모든 재료를 접시에 돌려 담는다. 담을 때에는 접시 언저리부터 시작하여 담고 맨 위에는 완자를 만들어 돌려 담는다. 5) 맨 위에는 달걀 1개를 깨끗하게 씻어 얹는다. 6) 연한 고기를 골라 육회 한 접시를 만들어 담아놓는다. 7) 숭어의 비늘과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씻어 칼로 드문드문 베고서 진한 간장을 발라 잠깐 구워서 냄비에 담아놓는다. 8) 먹을 때에는 냄비에 물을 붓고 고기 재운 것을 넣고 한참 끓인 후에 접시에 담았던 나물들을 넣어서 익혀 먹는다. - 국수나 흰떡을 넣어서 먹기도 한다.
원문명
승기악탕 > 승긔악탕 > 승기악탕
원문
재료 무 두개, 황화채 조금, 숙주 한사발(생것으로), 게란 두개, 미나리 썰은것한사발, 고기 반근, 파 네개, 두부 조금, 표고 세개, 호초 조금, 목이 여섯개, 깨소금 한숫가락, 버섯 세개, 간장 한종자, 숭어 한개, 물 세사발 승긔악탕도 이우에 도미국수 하는 법과 딱 같이 하나니 머저 무를 잘게 채치고 숙주를 꼬리따서 씻고 미나리를 한치 길이식 잘라 씻어놓고 파는 한치 길이로 잘라 채치고 표고 목이 버섯 석이를 불려서 정하게 씻어 골패쪽 만큼식 썰어서 꼭짜가지고 기름에 볶고 알고명 황백미 따루 묻혀서 골패쪽만큼식 썰고 여러 가지를 접시에 돌려담으 때에 접시 은저리와 같이 시작하여 담고 맨우에는 완자를 만들어 돌려담고 맨우에는 게란 한 개를 정하게 씻어 얹고 연한 고기를 육회 만들어 한접시 담아놓고 숭어를 비늘 긁고 내장을 빼고 정하게 씻어 칼로 드믄드믄 어여가지고 진한 간을을 발라서 잠간 구어서 남비에 담아놓고 먹을때에 남비에 물을 붓고 고기 장인것을 넣오 한참 끓인후 접시에 담앗든 나물들을 넣어서 익혀먹나니 국수나 혹 흰떡을 넣어서 먹나니라
번역본
재료 무 2개, 황화채 조금, 숙주 한 사발(생것으로), 달걀 2개, 미나리 썬 것 한 사발, 고기 반 근, 파 4개, 두부 조금, 표고 3개, 후추 조금, 목이 여섯 개, 깨소금 1숟가락, 버섯 3개, 간장 1종자, 숭어 1개, 물세 사발. 승기악탕도 이 위에 도미국수 하는 법과 똑 같이 한다. 먼저 무를 잘게 채치고 숙주를 꼬리따서 씻고 미나리를 한 치 길이씩 잘라 씻어 놓는다. 파는 한 치 길이로 잘라 채치고 표고, 목이, 석이를 불려서 깨끗하게 씻어 골패 쪽만큼씩 썰어서 꼭 짜가지고 기름에 볶는다. 알고명은 황백미를 따로 부쳐서 골패 쪽 만큼씩 썬다. 그런 후에 이 여러 가지를 접시에 돌려 담는다. 담을 때에 접시 언저리와 같이 시작하여 담고 맨 위에는 완자를 만들어 돌려 담는다. 맨 위에는 달걀 1개를 깨끗하게 씻어 얹는다. 연한 고기로 육회를 만들어 한 접시 담아놓고 숭어를 비늘 긁고 내장을 빼고 깨끗하게 씻어 칼로 드문드문 베어 가지고 진한 간장을 발라서 잠깐 구워서 냄비에 담아놓는다. 먹을 때에 냄비에 물을 붓고 고기 재운 것을 넣고 한참 끓인 후에 접시에 담았던 나물들을 넣어서 익혀 먹는다. 국수나 혹은 흰떡을 넣어서 먹기도 한다.
조리기구
접시, 냄비
키워드
승기악탕, 무, 황화채, 숙주, 계란, 미나리, 고기, 두부, 탕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