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어 1 마리 주재료] [간장 0.5 종자 부재료] [고기 0.5 근 부재료] [기름 조금 부재료] [석이 5 개 부재료] [깨소금 1 숟가락 부재료] [버섯 5 개 부재료] [후추 조금 부재료] [표고 5 개 부재료] [밀가루 3 숟가락 부재료] [미나리 조금 부재료] [물 4 홉 부재료] [두부 조금 부재료]
조리법
1) 고기는 맨살로만 골라서 곱게 이겨 두부와 양념들을 넣어서 완자재료를 만들어놓는다. 2) 질긴 고기는 잘게 썰어서 물 네 홉쯤 붓고 맑은 장국을 끓이고, 버섯, 석이, 표고들은 불려 깨끗하게 씻고 골패 쪽 크기로 썰어서 기름에 대강 볶아 놓는다. 3) 미나리 초대를 만들어 골패 쪽만 하게 썰어놓는다. 4) 생선은 비늘과 내장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씻은 후에 완자재료 만들어 놓았던 것을 생선 뱃 속에 가득히 넣고 실로 대강 꿰맨다. 5) 장국에 넣어 끓인 질긴 고기는 건져내고 숭어와 여러 가지 양념 만든 것들을 다 넣고 끓인다. 6) 생선이 잘 익은 후에 미나리 초대한 것과 알고명 붙인 것을 골패 짝 만큼씩 썰어서 색을 맞추어 얹고 상에 놓는다. -숭어를 한 통으로 하기 불편한 경우에는 생선을 한 치 길이씩 토막을 쳐서 한다. -완자 처럼 만든 고기는 냄비에 먼저 넣고 그 위에 생선을 넣고 그 다음에 양념들을 넣는다. -다 익은 후에 합에 담고 초대와 알고명을 색 맞추어 얹어서 상에 놓는다.
원문명
숭어찜 > 숭어찜 > 숭어찜
원문
재료(三人分) 숭어 한마리, 간장 반종자, 고기 반근, 기름 조금, 석이 다섯 개, 깨소금 한숫가락, 버석 다섯 개, 호초 조금, 표고 다섯 개, 밀가루 세숫가락, 미나리 조금, 물 네홉, 두부 조금 고기는 맨살로만 골라서 곱게 이겨 두부와 약념들을 넣어서 완자재료를 만들어놓고 질긴 고기로는 잘게 썰어서 물네홉쯤 붓고 맑은 장국을 끓이고 버섯 석이 표고들은 불려서 정하게 씻어 골패쪽만큼식 썰어서 기름에 대강 볶아놓고 미나리를 초대 만들어 골패쪽만큼식 썰어놓고 생선은 비눌긁고 내장을 빼고 정하게 씻은 후에 완자재료 만들어놓앗든 것을 생선 배속에 가득히 넣고 실로 대강 꿰어맨 후에 장국에 질긴 고기를 건져내고 숭어를 넣고 여러 가지 약념 만든 것들을 다 넣고 끓여서 생선이 잘 익은 후에 미나리 초대한 것과 알고명 붙인 것을 골패짝만큼식 썰어서 색스럽게 얹어서 상에 놓나니라. 숭어를 왼통으로 하기 불편한 경우에는 생선을 한치 길이식 토막을쳐서 하나니 완자가음처럼 만든 고기는 남비에 먼저 넣고 그 우에 생선을 넣고 그 다음에 약념들을 넣고 다익은후에 합에담고 초대와 알고명을 색맛혀 얹어서 상에 놓나니라
번역본
재료(三人分) 숭어 1마리, 간장 반 종자, 고기 반 근, 기름 조금, 석이 5개, 깨소금 1숟가락, 버섯 5개, 후추 조금, 표고 5개, 밀가루 세 숟가락, 미나리 조금, 물 네 홉, 두부 조금. 고기는 맨살로만 골라서 곱게 이겨 두부와 양념들을 넣어서 완자재료를 만들어놓는다. 질긴 고기로는 잘게 썰어서 물 네 홉쯤 붓고 맑은 장국을 끓이고, 버섯, 석이, 표고들은 불려서 깨끗하게 씻어 골패 쪽 만큼씩 썰어서 기름에 대강 볶아 놓는다. 미나리를 초대 만들어 골패 쪽 만큼씩 썰어놓는다. 생선은 비늘 긁고 내장을 빼고 깨끗하게 씻은 후에 완자재료 만들어 놓았던 것을 생선 뱃 속에 가득히 넣고 실로 대강 꿰맨다. 그런 후에 장국에 질긴 고기를 건져내고 숭어와 여러 가지 양념 만든 것들을 다 넣고 끓인다. 생선이 잘 익은 후에 미나리 초대한 것과 알고명 붙인 것을 골패 짝 만큼씩 썰어서 색 맞추어 얹어서 상에 놓는다. 숭어를 한 통으로 하기 불편한 경우에는 생선을 한 치 길이씩 토막을 쳐서 한다. 완자 처럼 만든 고기는 냄비에 먼저 넣고 그 위에 생선을 넣고 그 다음에 양념들을 넣는다. 다 익은 후에 합에 담고 초대와 알고명을 색 맞추어 얹어서 상에 놓는다.
조리기구
실, 냄비
키워드
숭어찜, 숭어, 생선, 고기, 버섯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