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술> 1) 백미 5되를 깨끗이 씻어 물에 담갔다가 가루를 낸다. 2) 물 5되를 끓여서 가루를 개고 얼음같이 차게 식으면 누룩가루 1되와 밀가루 7홉을 넣고 버무린다. 3) 단단히 봉하여 차갑지도 덥지도 않은 곳에 둔다. <덧술> 1) 소나무 마디 2말을 깨끗이 씻고 물을 부어 진하게 고아 식힌다. 2) 백미 5되와 찹쌀 1되를 깨끗이 씻어 하룻동안 물에 담갔다가 각각 지에밥을 찐다. 3) 소나무 마디 곤 물 2말을 백미로 지은 밥에 섞고 얼음 같이 차게 식혀서 술밑과 고루 섞는다. 4) 달이고 남은 소나무 마디 건더기를 항아리 밑에 먼저 넣고 소나무 마디 곤 물과 백미로 지은 밥 버무린 것을 밑에 넣은 다음 찰밥을 위에 넣고 단단히 봉한다. 5) 날씨를 보아가며 온도를 맞추어 익힌다. - 가을이면 국화를 위에 넣고 봄이면 진달래꽃을 넣는다. 겨울이면 유자 껍질을 넣되 술에 담그지 말고 위에 달아매어 익히게 되면 소나무 향과 꽃 향이 입에 가득하고 맛도 좋다.
원문명
송절주 > 송졀쥬 > 송절주
원문
미 닷 되을 세 셰 히게 씬난단 말이라 야 담가다가 작말야 물 닷 되를 혀 야 어름갓치 찬 후 국말 일 승 진말 칠 홉 너허 버무려 단단이 야 불한불열 두엇다가 송졀 두 말을 졍히 씨셔 물을 부어 진히 고아 식히고 일젼의 미 오 승 졈미 일 두을 셰여 갓다가 각각 지에를 송졀 고은 물 두 말을 되야 뫼밥의 두 말 물의 의 주어 어갓치 식혀 술밋 고로고로 섯거 송졀 달히 건지를 항밋희 몬져 녀흔 후 뫼밥 버무린 거산 밋희 넛코 밥은 우의 너허 굿게 뫼야 일기 걸 보아 온을 맛추어 닉히되 가을이어든 국히를 우의 너코 봄이여든 두견화을 너코 겨울이어든 유 겁질을 슐의 담그지 말고 우희 라 닉히면 화향과 송향이 만구야 맛시 긔이 맛 풍담을 업시 고 원긔 보익야 비각이 불인던 사람도 신효랄 보이라
번역본
백미 5되를 깨끗이 씻어 물에 담갔다가 가루를 낸다. 물 5되를 끓여서 가루를 개고 얼음같이 차게 식으면 누룩가루 1되와 밀가루 7홉을 넣고 버무린다. 단단히 봉하여 차갑지도 덥지도 않은 곳에 둔다. 소나무 마디 2말을 깨끗이 씻고 물을 부어 진하게 고아 식힌다. 하루 전에 백미 5되와 찹쌀 1되를 깨끗이 씻어 물에 담갔다가 각각 지에밥을 찐다. 소나무 마디 곤 물 2말을 백미로 지은 밥에 섞고 얼음 같이 차게 식혀서 술밑과 고루 섞는다. 달이고 남은 소나무 마디 건더기를 항아리 밑에 먼저 넣고 소나무 마디 곤 물과 백미로 지은 밥 버무린 것을 밑에 넣은 다음 찰밥을 위에 넣고 단단히 봉한다. 날씨를 보아가며 온도를 맞추어 익힌다. 가을이면 국화를 위에 넣고 봄이면 진달래꽃을 넣는다. 겨울이면 유자 껍질을 넣되 술에 담그지 말고 위에 달아매어 익히게 되면 소나무 향과 꽃 향이 입에 가득하고 맛도 좋다. 그 외에도 풍담을 없애 주고 원기를 북돋우며 팔다리를 못 쓰던 사람도 이 술로 신기한 효험을 보게 된다.
조리기구
항아리
키워드
송절주, 송졀쥬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