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겨자
  • 겨자

    식품코드 105696
    분류 기타 > 기타 > 기타
    문헌명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저자 이용기 (李用基)
    발행년도 1936
    IPC A23L 1/225
    DB구축년도 2012

h2mark 식재료

[누른 겨자 <방법 1> 주재료] [흰쌀 <방법 1> 부재료] [술 <방법 1> (또는 참깨즙) 부재료] [겨자 1 홉 <방법 2> 주재료] [겨자 <방법 3> 주재료] [설탕 <방법 3> 부재료] [소금 <방법 3> 부재료] [꿀 <방법 3> 부재료] [겨자 <방법 4> 주재료] [겨자 <방법 5> 주재료] [겨자 <방법 6> 주재료] [흰쌀 <방법 6> 부재료] [소금 <방법 6> 부재료] [설탕 <방법 6> 부재료]

h2mark 조리법

<방법 1> 1) 겨자의 모래를 털어버리고 낮에 해볕을 쬐어 저녁에 이슬 맞추어 4~5일 만에 넣어 두면 쓴 맛이 없어진다.
2) 누른 겨자를 흰쌀 반숟가락을 함께 찧어 곱게 가루 내어 체에 친다.
3) 찌꺼기를 버리고 사기그릇에 담고 냉수를 치고 극히 되게 개고 숟가락으로 저어가며 입김을 불어 넣는다.
- 매운 기운이 나거든 사기그릇을 축축한 땅에 엎었다가 조금 있다가 제쳐놓고 초와 장을 맞게 쳐서 고은 헝겊으로 밭친 후에 꿀이나 참깨즙을 조금 치면 독한 것이 조금 덜해진다.
<방법 2> 1)겨자 한 홉을 절구에 넣고 곱게 으깬다.
2) 초를 탄 종지에 물 조금 치고 휘저어 다시 명주보자기에 짠다.
3) 찌꺼기는 버리고 즙만 항아리에 넣어서 꼭 봉하여 서늘한 곳에 둔다.
4) 쓸 때에 장과 초를 쳐서 고루 섞어 쓰면 맵기도 비할 데 없고 맛도 매우 좋다.
<방법 3> 1) 2~3년 된 묵은 겨자를 곱게 가루 내어 물과 함께 되직하게 갠다.
2) 1)을 사발에 척척 붙여 담고 질긴 종이로 단단히 봉하고 물에 중탕하여 끓인다.
3) 그러면 누른 거품이 자연히 나올 것이다.
4) 곧바로 찬 땅에 엎어놓았다가 조금 지나거든 사발을 제치고 열어보면 매운 기운이 날것이다.
5) 이 때 맑은 초를 붓고 걸쭉하게 개어 헝겊에 짜서 찌꺼기는 버리고 꿀이나 설탕을 조금 치고 소금도 조금 친다.
<방법 4> 1) 가루로 만든 겨자를 족두리풀인 세신을 약간 넣고 개면 맛이 매우 맵다.
<방법 5> 1) 겨자가루를 그릇에 담는다.
2) 그 위에 종이를 덮고 종이 위로 물을 부어 겨자가루가 잠기게 한다.
<방법 6> 1) 겨자와 흰쌀을 분정하여 물에 깨끗하게 담근다.
2) 고은 맷돌에 많이 갈아 맷돌 가로 나오거든 손으로 긁어내어 그릇에 담는다.
3) 2)에 초, 설탕, 소금을 조금 넣고 개어서 종지에 담고 종이로 봉하였다가 먹을 때 연다.

h2mark 원문명

겨자 만드는 법 > 겨자 만드는 법 (개자 芥子醬) > 개자장

h2mark 원문

겨자는 각색회에쓰나니 누른겨자가 새로난것을 물에당가서 더운곳에 사오일두면 물위로 겁품방울이 자연이러날지니 곳건져내여 물인후에볏뵈여 말려둘지니 이겨자는 이담에씨는못하나니라 는 겨자를 모래를이러버리고 나제볏뵈여저녁에 이슬맛처사오일만에너어두면 쓴맛이업나니 붉은겨자는못쓰고 눌은겨자를 한홉하야 흔쌀반숫가락을 한테여 곱게작말하야 체에쳐 기를버리고 사그릇(磁椀)에담고 냉수를치고 극히되게개고숫가락으로 저어가며 입으로하야 긔운을드려보낼지니 흑불긔오르는데를 향하면잠간새매운긔운이나나니 매운긔운이나거든 사그릇을 축축한에업헛다가 죠금되거든 제쳐노코 초와장을맛게쳐서 고은헌겁에 밧튼후에 이나참집을 죠금치면 독한것이죠금감하나니 만일겨자가나문게잇거든 병에너코마구리를 봉하야두면 십여일을두어도 맛이변치안나니 만일바람이드러가면맛이쓰기가쉬우니 매우삼가할지니라 는 겨자한홉을 뇌분(盆)에너코 곱게윽개여 초탄종자에 물죠금치고 휘저어 다시 깁죠각에서 기는버리고 집만 항아리에너어서 봉하야 서늘한곳에 두엇다가 쓸에 장과초를처서 고루석거쓰면 맵기도비할데업고 맛도극히조흐니라 뇌분이라하는것은 오지그릇이 밋은좁고 위는널고 안에다가는 줄을내리처서 무엇이든지너코 방망이로가로윽개면다 가라지나니 이것이 강판과비슷한것인데 이런그릇이 지나에나 일본은잇서서 된장이든지 아모게나 윽개여쓰는데 편리하니라 는 이삼년된 묵은겨자를 곱게작말하야 물게되게개여사발에 척척붓처담고 질긴종희紙로 단단이봉하고 물에중탕하야 삼오차리면 누른겁품이자연나오거든 곳찬에 업허노앗다가 조곰지나거든 사발을제치고 여러보면 매우기운이 날것이니 맑은초를붓고 걸죽하게개여 헌겁에서 기는버리고 이나설당을 조곰치고 소곰도 조곰칠지니라 는 가루만든겨자를 세신(細辛)죠금과 과함개면 맛이극히매우니라 는 겨자를만들에 겨자가루를무슨그릇에든지 담은후에그위에다가 종희를덤고 종희위로물을부어 겨자가루가 잠기게하면 극히맵다하나니라 는 겨자를쌀과갓치여 작말하는것보당겨자와흔쌀을이위와갓치 분졍하야 물에당가서고은매에되게가라서 매돌가으로나오거든 손으로글거내여 그릇에담으면 이겨자는 헌겁에밧칠것도업나니 그제야 초와설당과 소금을죠금치고개여종자에담고 종희로봉하얏다가 먹을제여나니라무슨음식이 입긔운을 드려야한다하니 더럽고이상한일이나 옛사람이하든법이라도 못곳쳐애달다하노라

h2mark 번역본

겨자는 각종 회에 쓴다. 새로 난 누른 겨자를 물에 담가서 더운 곳에 4~5일 두면 물 위로 거품 방울이 자연히 일어날 것이다. 그 때 곧 건져내어 물 뺀 후에 햇볕에 쬐어 말려둔다. 겨자장 만들때 주의 사항 겨자의 모래를 털어버리고 낮에 햇볕을 쬐어 저녁에 이슬 맞추어 4~5일 만에 넣어 두면 쓴 맛이 없어진다. 붉은 겨자는 못 쓰고 누른 겨자를 1홉 쯤 되게 하여 흰쌀 반숟가락을 함께 찧어 곱게 가루 내어 체에 쳐 찌꺼기를 버리고 사기그릇(磁椀)에 담고 냉수를 치고 극히 되게 개고 숟가락으로 저어가며 입김을 불어 넣는다. 혹 불기를 넣으면 쉽게 매운 기운이 나기도 한다. 매운 기운이 나거든 사기그릇을 축축한 땅에 엎었다가 조금 있다가 제쳐놓고 초와 장을 맞게 쳐서 고은 헝겊으로 밭친 후에 꿀이나 참깨즙을 조금 치면 독한 것이 조금 덜해진다. 만일 겨자가 남은 게 있거든 병에 넣고 입구를 꼭 봉하여 두면 10여 일을 두어도 맛이 변하지 않는다. 만일 공기가 들어가면 맛이 쓰기가 쉬우니 조심해야 한다. 겨자 1홉을 뇌분(절구; 盆)에 넣고 곱게 으깨어 초를 탄 종지에 물 조금 치고 휘저어 다시 깁 조각(명주보자기)에 짜서 찌꺼기는 버리고 즙만 항아리에 넣어서 꼭 봉하여 서늘한 곳에 둔다. 쓸 때에 장과 초를 쳐서 고루 섞어 쓰면 맵기도 비할 데 없고 맛도 매우 좋다. “뇌분”이라 하는 것은 오지그릇이 밑은 좁고 위는 넓고 안에는 줄이 내리쳐 있어서 무엇이든지 넣고 방망이로 가루로 으깨면 다 갈아진다. 이것은 강판과 비슷한 것인데 이런 그릇이 중국에서나 일본에서는 있어서 된장이든지 아무 것이나 으깨어 쓰는데 편리하다. 2~3년 된 묵은 겨자를 곱게 가루 내어 물과 함께 되직하게 개어 사발에 척척 붙여 담고 질긴 종이(紙)로 단단히 봉하고 물에 중탕하여 3~5번 끓인다. 그러면 누른 거품이 자연히 나올 것이다. 곧바로 찬 땅에 엎어놓았다가 조금 지나거든 사발을 제치고 열어보면 매운 기운이 날것이다. 이 때 맑은 초를 붓고 걸쭉하게 개어 헝겊에 짜서 찌꺼기는 버리고 꿀이나 설탕을 조금 치고 소금도 조금 친다. 가루로 만든 겨자를 세신(細辛; 족두리풀) 약간 넣고 개면 맛이 매우 맵다. 겨자를 만들 때에 겨자가루를 그릇에 담은 후에 그 위에 종이를 덮고 종이 위로 물을 부어 겨자가루가 잠기게 하면 극히 맵다고 한다. 겨자를 쌀과 같이 찧어 가루 내는것 보다 겨자와 흰쌀을 이 위와 같이 분정하여 물에 깨끗하게 담가서 고은 맷돌에 많이 갈아 맷돌 가로 나오거든 손으로 긁어내어 그릇에 담으면 이 겨자는 헝겊으로 걸러낼 필요없다. 여기에 초와 설탕과 소금을 조금 넣고 개어서 종지에 담고 종이로 봉하였다가 먹을 때 연다. 어떤 음식은 입 기운을 들여야 한다고 하는데, 이는 더럽고 이상한 일이지만 옛 사람들이 하던 법이라 고칠 수 없어 안타깝다.

h2mark 조리기구

체, 뇌분(절구), 깁조각, 질긴 종이(紙), 맷돌, 종지

h2mark 키워드

겨자 만드는 법 (개자 芥子醬), 개자장, 겨자, 누른 겨자, 흰쌀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6
동의보감 956
한방백과 15
학술정보 2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1
문화정보 4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