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석박지
  • 석박지

    식품코드 10717
    분류 부식 > 김치 > 무김치
    문헌명 주찬(酒饌)
    저자 저자미상
    발행년도 1800연대초엽
    IPC A23B 7/10, A23L 1/23
    DB구축년도 2011

h2mark 식재료

[연한 무 주재료] [배추 주재료] [조기젓 주재료] [소라 부재료] [굴 부재료] [대하 부재료] [파 부재료] [마늘 부재료] [생강 부재료] [천초 부재료] [청각 부재료] [생복 부재료] [석이 부재료] [표고 부재료] [소금물 부재료]

h2mark 조리법

1) 연한 무와 배추를 소금물에 절이고, 잎에만 조금 짠맛이 들 때 채반 위에 건져 낸다.
2) 조기젓은 품질이 좋은 것을 사용하고, 날 물에 담가 비늘을 떼고 씻어 둔다.
3) 소라, 굴, 대하, 파, 마늘, 생강, 천초, 청각, 생복, 석이, 표고 등을 썬다.
4) 조기젓과 무, 배추를 양념과 함께 켜켜이 담고, 소금에 절인 무와 배춧잎을 그 위에 덮는다.
5) 조기젓 씻은 물을 체로 걸러4) 위에 붓는다.
6) 국물의 간을 맞춘다.
- 맛을 보아 너무 싱거우면 다른 좋은 젓국물을 덧넣고, 너무 짜면 무와 배추 절였던 물을 덧부어서 간을 맞춘다.
7) 적당히 간을 맞춘 국물을 항아리에 가득 차도록 붓고, 나머지는 따로 담아 둔다.
8) 김치국물이 줄어 들면 남겨 두었던 국물을 여러 번 덧붓는다.
- 국물을 여러 번 많이 덧부으면 군내가 나지 않아 좋다.
- 너무 싱거우면 맛이 이상하고, 너무 짜도 맛이 별로 좋을 것 없다.
- 젓갈 중에는 굴젓이 가장 좋으며, 이 김치의 젓갈로도 좋다.
또한 준치젓을 넣어도 좋다.
- 젓국의 맛이 이상하고 매우 역겨울 때에는 일체 그 젓국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h2mark 원문명

섞박이 김치 > 胥薄 > 서박저

h2mark 원문

以軟菁宿於水,莖則味不入葉僅嘗時拯出鞭盤上置之。石魚以品美不臭者沈於生水去鱗洗之,小螺石花大蝦蔥蒜生薑川椒角生鰒石耳古等物,多數可割者割之,別置他器後,與石魚菁俱藥恬層層相沈,而以殺菁葉覆沈其上後,以石魚沈洗之水篩注入,而若太淡則以他好鞠水添之,太則以菁宿水添之,適取淡注鞠盈瓮,而以其鞠水多數餘置別器後,觀沈鞠水之層縮,以餘鞠水數添注之,則雖盡熟,其鞠寬盈也,如此數添,鞠多則無窘臭而好。此太淡則味怪異不美,極則味無別好味也。雉亦可入用也。中石花最佳,而此則好。沈注時若入鞠則味怪異而太不,切勿用鞠可也。

h2mark 번역본

연한 무와 배추를 소금물에 절여서 줄기에는 짠맛이 들지 않고 잎에만 조금 짠맛이 들 때 채반 위에 건져 내어 둔다. 조기젓은 품질이 좋고 역한 냄새가 나지 않는 것을 날 물에 담가 비늘을 떼고 씻어 둔다. 소라굴대하파마늘생강천초청각생복석이표고 등 여러 가지 썰어야만 하는 것들은 썰어서 다른 그릇에 담아 두고, 조기젓과 무와 배추를 양념과 함께 켜켜이 넣어 담는다. 그런 다음 소금에 절인 무와 배춧잎을 그 위에 덮고, 조기젓 씻은 물을 체로 걸러 그 위에 부어 넣는다. 맛을 보아 너무 싱거우면 다른 좋은 젓국물을 덧넣고, 너무 짜면 무와 배추 절였던 물을 덧부어서 간을 맞춘다. 적당히 간을 맞춘 국물을 항아리에 가득 차도록 붓고 그 국물을 다른 그릇에도 많이 담아 둔다. 다음에 보아서 김칫국물이 줄어 들면 남겨 두었던 국물을 여러 번 덧붓는다. 즉, 완전히 익어도 국물은 항아리에 꽉 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국물을 여러 번 많이 덧부으면 군내가 나지 않아 좋다. 이와 같이 너무 싱거우면 맛이 이상하고 좋지 않으며, 너무 짜도 맛이 별로 좋을 것 없다. 준치젓을 넣어도 좋다. 젓갈 중에는 굴젓이 가장 좋으며, 이 김치의 젓갈로도 좋다. 담글 때 젓국의 맛이 이상하고 매우 역겨울 때에는 일체 그 젓국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h2mark 조리기구

채반, 그릇, 체, 항아리

h2mark 키워드

섞박이 김치, 胥薄, 서박저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5
동의보감 478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