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월에 밭을 갈고 거름을 주고 비를 맞게 한다. 2) 3월에 또 종횡으로 7차례 밭을 간다. 3) 이랑을 만들어 생강을 한 자 간격으로 한 알씩 심는다. 4) 흙을 두툼하게 덮고 그 위에 다시 말똥을 두툼하게 덮는다. 5) 6월이 되면 갈대발을 엮어서 덮어주고 김도 자주 매 준다 - 생강의 성질이 차고 더위에 약하기 때문이다. 6) 줄기가 무성하게 자라면 비를 무릅쓰고 거름을 산처럼 생강채에 덮어주고 버드나무 연한 가지를 꺾어서 이랑 위에 덮어준다. 7) 7월이 되어 생강채가 무성하고 뿌리가 드러나면 체로 쳐낸 부드러운 흙을 덮어주고 잠사(누에똥)을 거름으로 준다. 8) 9월에 서리가 내리기 전에 생강을 수확한다. 9) 먼저 따뜻한 곳에 토굴을 만들고 사방을 진흙으로 바르고 마르면 불을 쬐어 다시 말려 습기가 생기지 않게 한다. 10) 수확한 생강을 저장할 때 우선 사적토를 햇볕에 말려 토굴 바닦에 깔고, 그 위에 생강이 벽에 닿지 않게 하고, 생강 사이를 두어 서로 닿지 않게 가지런히 펴 놓는다. 11) 사적토을 생강 위에 덮고 생강을 가지런히 놓고 그 위에 3~4촌 두께로 흙을 덮어준다. 12) 널판자 덮개로 덮고 네 귀퉁이를 진흙을 발라 메워준다. 13) 덮개 가운데에 구멍을 뚫어 공기가 통할 수 있게 하여 가스가 꽉 차지 않게 해준다. 14) 정오 햇볕이 따스할 때 꺼내어 쓴다. 15) 음력 2월에 날이 따스해지면 토굴 속 생강을 다 꺼내어 좋고 나쁜 것을 가려내어 좋은 것은 다시 토굴 속에 묻어둔다.
2월에 밭을 갈고 거름을 주고 비를 맞게 한다. 3월에 또 종횡으로 7차례 밭을 간다. 이랑을 만들고 생강을 한 자 간격으로 한 알씩 심고 흙을 두툼하게 덮고 그 위에 다시 말똥을 두툼하게 덮는다. 6월이 되면 갈대발을 엮어서 덮어준다. 생강의 성질이 차고 더운 것에 약하기 때문이다. 번거로움을 마다 않고 김도 자주 매주어야 한다. 5~6월 경에 줄기가 무성하게 자라면 비를 무릅쓰고 거름을 산처럼 생강 채에 덮어주고 버드나무 연한 가지를 꺾어서 이랑 위에 덮어준다. 7월이 되어 생강 채가 무성해지고 뿌리가 드러나면 체로 쳐낸 부드러운 흙을 덮어주고 잠사(누에똥)을 거름으로 주어도 된다. 9월에 서리가 내리기 전에 생강을 수확한다. 먼저 부뚜막 근처에 토굴을 만들고 사방을 진흙으로 바르고 마르면 불을 쬐어 다시 말려 습기가 생기지 않게 한다. 수확한 생강을 저장할 때 우선 사적토를 햇볕에 말려 토굴에 깔고, 그 위에 생강을 사방 벽에 닿지 않고 생강 사이를 두어 서로 닿지 않게 가지런히 펴 놓는다. 사적토를 또 펴고 생강을 가지런히 놓고 이것이 끝나면 흙을 3~4촌 두께로 덮어주고 널판자 덮개를 덮고 덮개 네 귀퉁이를 진흙을 발라 메워준다. 그리고 덮개 가운데에 구멍을 뚫어 공기가 통할 수 있게 하여 가스가 차지 않게 해준다. 정오 햇볕이 따스할 때 꺼내어 쓴다. 음력 2월에 날이 따스해지면 토굴 속 생강을 다 꺼내어 좋고 나쁜 것을 가려내어 좋은 것은 다시 토굴 속에 묻어둔다.
조리기구
체, 널판자
키워드
생강, 種薑, 종강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