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법주
  • 법주

    식품코드 125236
    분류 주류 > 양조곡주 > 순곡주류
    문헌명 제민요술(齊民要術)
    저자 가사협(賈思)
    발행년도 1500년대
    IPC C12G 3/02, C12G 3/00
    DB구축년도 2014

h2mark 식재료

[누룩가루 3 말 [밑술] 3되 부재료] [멥쌀 3 말 [밑술] 3되 부재료] [물 3 말 [밑술] 3되 부재료] [멥쌀 6 말 [덧술 1차] 6되 부재료] [멥쌀 1 섬 [덧술 2차] 3말 2되 부재료] [멥쌀 2 섬 [덧술 3차] 6말 4되 부재료]

h2mark 조리법

[밑술] 1) 3월 3일에 누룩가루 3말 3되를 명주 체에 친다.
2) 멥쌀 3말 3되를 두 번 쪄서 진 밥을 지은 후 펴서 약간 식힌다.
- 물벼쌀이 좋다.
3) 물 3말 3되에 누룩을 넣은 다음 밥을 넣는다.
[덧술 1차] 7일 후 멥쌀 6말 6되로 밥을 지어 앞서 만든 밑술에 넣는다.
[덧술 2차] 7일 후 멥쌀 1섬 3말 2되로 밥을 지어 앞서 만든 밑술에 넣는다.
[덧술 3차] 1) 7일 후 또 멥쌀 2섬 6말 4되로 밥을 지어 앞서 만든 밑술에 넣는다.
2) 술밑밥의 양과 술 맛이 충분하면 술밑을 그만 넣는다.
3) 술을 맑게 하려면 동이로 밀봉해서 덮고 진흙으로 봉한다.
- 거르지 않고 마실 때는 진흙으로 봉하지 않는다.
4) 7일이 지나면 아주 맑아진다.
맑은 술을 받아낸 다음에 술을 짠다.

h2mark 원문명

멥쌀로 만든 법주 > 米法酒 > 갱미법주

h2mark 원문

米大佳。三月三日,取井花水三斗三升,絹麴末三斗三升,米三斗三升,稻米佳,無者,旱稻米亦得充事,再弱炊,令小冷,先下水、麴,然後之。七日更,用米六斗六升。一七日更,用米一石三斗二升。二七日更,用米二石六斗四升,乃止,量酒備足,便止。合者,不復封泥。令者,以盆密蓋,泥封之。經七日,便極澄。接取者,然後押之。

h2mark 번역본

찹쌀을 쓰는 것이 가장 좋다. 3월 3일에 정화수 3말 3되를 길어 오고 명주 체[絹]에 누룩가루 3말 3되를 친다. 멥쌀 3말 3되를 쓰는데 물벼[水稻] 쌀이 좋다. 물벼 쌀이 없으면 밭벼 쌀을 써서 밥을 지어도 괜찮다. 두 번 쪄서 무른 밥을 만들어 펴서 약간 식힌다. 먼저 물과 누룩을 넣은 다음 밥을 넣는다. 7일이 되면 다시 술밑을 넣는데 쌀 6말 6되를 쓴다. 두 번째 7일이 되면 다시 넣는데 쌀 1섬 3말 2되를 쓴다. 세 번째 7일이 되면 또 다시 넣는데 쌀 2섬 6말 4되를 쓰고는 멈춘다. 술밑밥 양과 술 맛이 충분하면 술밑을 그만 넣는다. 거르지 않고 마실 때는 다시 진흙으로 봉하지 않는다. 술을 맑아지게 하려면 동이로 밀봉해서 덮고 진흙으로 봉한다. 7일이 지나면 아주 맑아진다. 맑은 술을 받아낸 다음에 술을 짠다.

h2mark 조리기구

명주 체, 동이

h2mark 키워드

멥쌀로 만든 법주, 米法酒, 갱미법주, 누룩, 멥쌀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5
동의보감 54
한방백과 1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3
역사정보 1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