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배추소
  • 배추소

    식품코드 183968
    분류 부식 > 김치 > 기타
    문헌명 조선음식 만드는 법(조선음식 만드는 법)
    저자 방신영(方信榮)
    발행년도 1946
    IPC A23B 7/10, A23L 27/24
    DB구축년도 2016

h2mark 식재료

[무 0.5 동이 반 동이 주재료] [실고추 1.5 근 한 근 반 부재료] [마늘 10 통 부재료] [파 2 사발 부재료] [생강 1 홉 부재료] [배 10 개 부재료] [밤 1 되 부재료] [미나리 3 사발 부재료] [갓 3 사발 부재료] [청각 5 줄기 부재료] [소금 1 홉 부재료]

h2mark 조리법

재료(배추 백 통에 대한 소의 분량) 무 채 친 것 반 동이<가늘게 채 쳐서 즉시 다른 양념들과 버무릴 것>, 실고추 세 사발<한 근 반>, 마늘 열 통<굵은 것으로 채 칠 것>, 파 채 쳐서 두 사발, 생강 채 쳐서 한 홉, 배 채 쳐서 열 개, 굵은 밤 한 되, 미나리 썰은 것<뿌리와 잎을 따고 머리 굵은 부분은 한 치 길이씩 잘라서 겉고명으로 쓰고 가는 부분은 한 치 길이로 썰어서 속고명을 함> 세 사발, 갓 세 사발<가는 줄기와 연한 잎만 한 치 길이로 썰 것>, 청각 다섯 줄기<각 줄기를 잘게 뜯어서 쓸 것>, 소금 일 홉 수북이<소 버무릴 때 무에 뿌리고 버무릴 것> 1) 이 여러 가지 재료를 다 함께 버무려서 소를 넣는다.
2) 먼저 채 친 무에 소금을 뿌리고 잘 섞는다.
3) 실고추를 넣고 잘 섞어 고춧물이 무에 빨갛게 물들면 남은 재료를 다 함께 넣고 잘 섞어서 쓴다.
[비고] 양념 버무리는데 찹쌀가루를 오 홉쯤 풀을 쑤어 섞어서 소를 넣으면 잘 삭으므로 단맛이 난다.

h2mark 원문명

배추소 버무리는 법 > 배추소 버무리는 법 > 배추소 버무리는 법

h2mark 원문

재료 (배추 백통에 대한 소의분량) 무우 채친것 반동이(가늘게 채쳐서 즉시 다른 약념들과 버무릴것) 실고추 세사발(한근반) 마늘 열통(굵은것으로채칠것) 파 두사발(채쳐서) 생강 한홉(채쳐서) 배 열개(채쳐서) 밤 한되(굵은밤으로) 미나리(뿌리와 잎을따고 머리 굵은 부분은 한치 길이씩 잘너서 것고명으로 쓰고 가는부분은 한치길이로 썰어서 속고명을함) 세사발(썰은것) 갓 세사발(가는줄기와연한잎만 한치길이로 썰것) 청각 다섯줄기(각줄기를 잘게 뜯어서 쓸것) 소금 일홉수북이(소버무릴때 무에 뿌리고 버무릴것) 이 여러가지 재료를 다 함께 버무려서 소를 넣나니 먼저 채친무우에 소금을 뿌리고 잘 섞은후 실고추를 넣고 잘 섞어 고추물이 무우에 빨갛게 물거든 남은 재료를 다 함께 넣고 잘 섞어서 쓰느리라. [비고] 약념 버무리는데 찹쌀ㅅ가루를 오홉쯤 풀을 쑤어 섞어서 소를 넣으면 잘 삭으므로 단맛이 나느리라.

h2mark 번역본

재료(배추 백 통에 대한 소의 분량) 무 채 친 것 반 동이<가늘게 채 쳐서 즉시 다른 양념들과 버무릴 것>, 실고추 세 사발<한 근 반>, 마늘 열 통<굵은 것으로 채 칠 것>, 파 채 쳐서 두 사발, 생강 채 쳐서 한 홉, 배 채쳐서 열 개, 굵은 밤 한 되, 미나리 썰은 것<뿌리와 잎을 따고 머리 굵은 부분은 한 치 길이씩 잘라서 겉고명으로 쓰고 가는 부분은 한 치 길이로 썰어서 속고명을 함> 세 사발, 갓 세 사발<가는 줄기와 연한 잎만 한 치 길이로 썰 것>, 청각 다섯 줄기<각 줄기를 잘게 뜯어서 쓸 것>, 소금 일 홉 수북이<소 버무릴 때 무에 뿌리고 버무릴 것> 이 여러 가지 재료를 다 함께 버무려서 소를 넣나니 먼저 채 친 무에 소금을 뿌리고 잘 섞은 후 실고추를 넣고 잘 섞어 고춧물이 무에 빨갛게 물거든 남은 재료를 다 함께 넣고 잘 섞어서 쓴다. [비고] 양념 버무리는데 찹쌀가루를 오 홉쯤 풀을 쑤어 섞어서 소를 넣으면 잘 삭으므로 단맛이 난다.

h2mark 조리기구

h2mark 키워드

배추소 버무리는 법, 무, 소금, 실고추, 마늘, 생강, 배 밤, 미나리, 갓, 청각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
동의보감 63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