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법 1>(서울) 1) 메주를 만들 때 먼저 높고 마른 땅에 긴 개천을 파되 1자 길이 정도 되게 판다. 2) 개천 사면에 물길을 내고 가마니나 갈대로 만든 자리를 펴놓은 후에 콩을 충분히 까분다. 3) 물에 담가 일어서 모래가 없게 한다. 4) 담가둔 지 하루 만에 건져내어 큰 통에 붓고 물을 부어 무르도록 놓아둔다. 5) 하룻밤이 지난 후에 건져내어 물이 다 빠지면 절구에 넣고 깍지가 없도록 잘 찧는다. 6) 손으로 주물러서 둥글게 만든다. 7) 큰 칼로 가운데를 쪼개고 다시 가로로 잘라서 반달같이 만들거나 네모지고 납작하게 만들어 두께가 모두 1치 정도 되도록 둘로 자른다. 8) 가마니나 갈대로 만든 자리로 두껍게 덮고 용마름에 얹어 놓는다. - 바람이 들지 않게 두면 메주가 저절로 떠서 옷이 입혀지게 된다. 10) 뚜껑을 열고 한번씩 뒤적여 준다. 11) 다시 뚜껑을 덮고 하기를 8~9번 한다. 12) 메주가 거의 다 마르게 되면 메주를 꺼내어 바싹 말린다. 13) 장 담그는 방법 대로 담근다. - 매년 3월에 시작해서 5월에는 나라에 진상을 하기 때문에 서울에서 장 담그는 시기는 5월 그믐 전이 된다. <방법 2> (절메주) 1) 삶은 콩을 절구에 빻지 않고 베로 만든 버선을 신고 발 밟아 이겨서 만든다. <방법 3>(시골메주) 1) 덩이를 크게 지어 1말로 덩이 하나를 만든다. 2) 짚으로 열십자로 묶어 매어달고 겨울을 지나서 만든다.
메주를 만들 때 먼저 높고 마른 땅에 긴 개천을 파되 1자 길이 정도 되게 판다. 개천 사면에 물길을 내고 가마니나 갈대로 만든 자리를 펴놓은 후에 콩을 충분히 까불고 물에 담가 일어서 모래가 없게 한다. 담가둔 지 하루 만에 건져내어 큰 통에 붓고 물을 부어 무르도록 놓아둔다. 하룻밤이 지난 후에 건져내어 물이 다 빠지면 절구에 넣고 깍지가 없도록 잘 찧은 다음 손으로 주물러서 둥글게 만든다. 큰 칼로 가운데를 쪼개고 다시 가로로 잘라서 반달같이 만들기도 하고 또는 네모지고 납작하게 만들어 둘로 자르되 두께가 모두 1치 정도 되도록 만든다. 가마니나 갈대로 만든 자리로 두껍게 덮고 용마름에 얹어 놓아 비가 와도 물이 흘러내려 가도록 한다. 바람이 들지 않게 두면 메주가 저절로 떠서 옷이 입혀지게 되며 뚜껑을 열고 한번씩 뒤적여 주고 다시 뚜껑을 덮고 하기를 8~9번 하게 되면 수십 일이 지나게 될 즈음 메주가 거의 다 마르게 된다. 이 때 메주를 꺼내어 바싹 말린 후 장 담그는 방법대로 담그면 오래 묵혀도 맛이 좋은 장이 되는데 이렇게 하는 것이 서울에서 메주를 만드는 방법이다. 매년 3월에 시작해서 5월에는 나라에 진상을 하기 때문에 서울에서 장 담그는 시기는 5월 그믐 전이 된다. 절메주라는 것이 있는데 옛날에는 아마도 절에서 많이 만들고 또 잘 만들었기 때문에 이름이 이 같이 붙여진 것 같다. 요즘 절메주라 하는 것 중에는 무게동이나 작작골 등의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많다. 삶은 콩을 절구에 빻지 않고 베로 만든 버선을 신고 발로 밟아 이기기 때문에 밟는 사람의 땀이 콩에 떨어지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절메주로 장을 담그면 장의 빛깔이 진하다고는 하지만 조상이나 신령에게 바칠 음식에는 집에서 만든 메주를 써서 담근 장을 사용한다. 시골에서 만드는 메주는 덩이를 크게 지어 1말로 덩이 하나를 만들어 짚으로 열십자로 묶어 매어달고 겨울을 지내는데 이렇게 하면 메주의 속이 곯고 방 안의 온갖 냄새를 메주가 다 흡수한다. 띄울 때 메주에서 가시 같은 것이 방에 떨어지는데 나중에는 이것 때문에 피부가 가렵고 괴롭게 된다. 이런 메주로는 고추장을 담그기는커녕 장을 담가도 맛이 좋지 않다. 요즘 시장에서 파는 메주 가운데에는 작은 벽돌같이 네모지고 납작하게 생긴 것이 있는데 메주에 콩이 그대로 많이 들어있다. 그러나 검은 진이 솟아나온 것은 메주가 뜬 것이 아니라 썩은 것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조리기구
<방법 1> 자리(가마니나 갈대로 만든 것), 절구 <방법 2> 버선(베로 만든 것) <방법 3> 짚
키워드
며주만드는법 (末醬·燻造), 메주 만드는 법, 말장·훈조 , 콩, 메주, 소금, 소고기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