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찹쌀을 햇볕에 말리고 백미를 가려낸 다음 3~4일 얼지 않게 물에 담갔다가 빻는다. 2) 고운 체에 여러 번 내리고 술에 꿀을 단맛이 있을 정도로 타서 반죽한다. 3) 가끔씩 저어 주어 속까지 잘 익도록 찐다. 4) 꿀을 3~4수저 더 넣어 거품이 생기도록 잘 갠 다음 떡치듯 홍두깨에 감아 오래 친다. 5) 분가루를 두껍게 펴 놓고 반죽을 펴서 반듯하게 썬다. 6) 방에 불을 지피고 종이 위에 강정 만든 것을 줄지어 펴 놓고 손으로 모양을 잡아가며 자주 뒤적이며 말린다. 7) 마르는 대로 그릇에 담아내 하룻밤을 더 말린다. 8) 술에 축여 단단한 것이 남아있지 않으면 그릇에 놓고 보자기를 덮어 한참을 둔다. 9) 강정 모양이 상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뜯어내 반만 마르도록 잠깐 널어 놓는다. 10) 기름을 두 곳에 담아 끓인 다음 중탕한다. 11) 두 기름을 서로 번갈아 사용하며 강정을 튀긴다. 12) 약한 불에서 저어 가며 튀긴다. 13) 강정이 부풀어 오르기 시작하면 불을 세게 하고 기름을 떠서 얹어 가며 부풀게 튀긴다. - 찹쌀이 좋지 않거나 여러 조건 가운데 한 가지만 맞지 않더라도 강정이 잘 부풀지 않는다. 14) 푸른 콩가루를 고운 체에 내린다. 15) 즙을 만들려면 꿀을 많이 넣고 오래 조리고 생강즙과 계피를 넣는다. 16) 강정 여러 개를 함께 즙에 담가 서로 엉기게 묻힌다. - 가루를 묻혔다가 털어 즙에 넣으면 즙이 많이 묻고 엉겨서 맛이 아주 좋다. 17) 흰엿에 흑꿀을 섞고 그릇에 물기를 조금하여 저어서 녹인다. 18) 강정을 자배기에 담고 엿을 골고루 발라 각색 고물을 입힌다. 19) 참깨를 물에 반나절만 담가 두었다가 비벼 보아 허물이 벗겨지면 소쿠리에 건져 절구에 찐다. 20) 좋은 깨를 체에 담아 하룻밤을 재워 솥에 한사발씩 붓고 불을 뭉근하게 한다. 21) 빛깔이 흰솔로 재빨리 저어 다 튀기고 누르기 전에 퍼내어 까불러 쓴다. 22) 청대콩, 신감초, 계핏가루, 잣가루, 송화, 흑임자 등을 묻히고 붉은 빛은 찰벼 튀긴 것을 가루로 만들어 지치 기름에 섞어 쓴다.
원문명
강정 > 강졍 > 강정
원문
강졍은 견병 곳치다말 이라 혹 왈, 한구라 니, 뉴우셕 한구시의 왈, 셤슈사옥수심니, 벽유젼출연황심이라 니라. 됴흔 을 졍히 허 뫼 고 갓다가 어지 아니케 허 체예 여러번 뇌야, 됴흔 술의 쳥을 약간 맛 이실만치 타 반듁을 붓구미만치 야 닉게 , 금 저어 속지 닉혀 여 서너술 더 너허 아리 니도록 극진이 야 치 홍두개예 아 쳐, 분로 둣거이 노코 펴 졍히 흐라 방을 히고 죠예 강졍 든 거 면 바로 줄지어 널고 손으로 모양을 바로하야 루〃 뒤젹여 속〃드리 르거든 르죡〃 그 아 일야 다 뇌오고 술의 추겨 가 업거든 그 노코 보자 덥허 이윽이 두었다가 헤쳐보면 덩이 졋거든 만이 강졍이 샹치 아니게 더 모양을 바로야 헤쳐 잠감 너럿다가 몸이 반만 르거든 기을 두 그 고 이 혀 듕탕야 와 두고, 서로 람 을려 노하 강졍을 마초 너코 만화로 산져로 저어 오래 저으면 막닐고져 거든 블을 오고 쟈로 기을 언즈면 극진이 니니 이 사오남거나 가지만 그여도 잘 니지 아니니라. 프 콩늘 쳬예 뇌고 즙은 을 만히 너허이 조려 강즙 계피 너허 나식 무치지 말고 여러흘, 즙의 가 서로 엉긔게 무쳐 무덧다가 히면 즙이 만히 무더 엉긔여 마시 별니라. 흔 녓슬 흑도 셕고 양푼에 물긔 조곰 야 져허 강졍을 박이에 답 엿슬 고로 발 의을 닙히라 을 물에 반이란 다마 부부여보아 허물이 벗거든 속고리에 건져 졀구에 붓고 실헌 을 쳬에 마 로밤 와 솟헤 발식 붓고 불을 밍근이 이며 빗 흰 솔로 속속히 져어 튀고 누르기 젼에 퍼야 불너 쓰고 청 신감쵸 계피말 말 송화 흑임 등을 뭇지고 홍은 벼 튄 거슬 작야 지쵸 기름에 셕거 쓰라 환현이가 셔화를 손을 뵈다가, 이 한구 먹던 손으로 잡아 기 흔젹이 난고로 혹 왈 한구는 강졍이 아냐 젼병뉴라 니 잇니라.
번역본
강정을 누에고치 같다하여 견병(繭餠)이라고도 하며 한구(寒具)라고도 한다. 유우석(劉禹錫)의 한구시(寒具詩)에 이르기를 “가느다란 손으로 비벼내어 옥으로 두어번 찾으니 푸른 기름으로 지져내면 연하게 누른 속이네” 했다. 특별히 좋은 찹쌀을 볕에 말려 깨끗하게 골라서 백미를 가려내고 3~4일 얼지 않게 담갔다가 빻아 고운 체에 여러번 내려 좋은 술에 꿀을 단맛이 있을 정도로 타서 반죽을 하여 익도로 찌는데 가끔 저어 속까지 익혀 내고 꿀 3~4수저를 더 넣어 꽈리가 일도록 잘 개어 떡치듯 홍두깨에 감아친다. 오래 친 것과 분가루를 두껍게 펴 놓고 반듯하게 썬다. 방에 불을 짚히고 종이에 강정 만든 것을 펴서 놓고 손으로 모양을 잡아 자주 뒤적인다. 속속들이 마르면 즉시 그릇에 담아 하룻밤 사이에 다 말린다. 강정의 모양이 상하지 않게 뜯어 중탕시킨 기름, 약한 온도에서 튀기고 강정이 부풀어 오르기 시작하면 센불에서 튀긴다. 찹쌀이 좋지 않거나 튀기는 온도 등 한가지만 조건이 맞지 않아도 잘 부풀지 않는다. 푸른 콩가루를 고운 체에 내린다. 즙을 만들려면 꿀을 많이 넣어 오래 졸여 생강즙과 계피를 넣어 하나씩 묻히지 말고 여러개를 즙에 담가 서로 엉기게 묻힌다. 가루에 묻혔다가 데면 즙이 많이 묻고 엉겨서 맛이 좋다 흰엿에 흑꿀을 섞고 그릇에 물기를 조금하여 저어서 녹인다. 강정을 자배기에 담고 엿을 골고루 발라 각색 고물을 입힌다. 참깨를 물에 반나절만 담가 두었다가 비벼 보아 허물이 벗겨지면 소쿠리에 건져 절구에 찐다. 좋은 깨를 체에 담아 하룻밤을 재워 솥에 한사발씩 붓고 불을 뭉근하게 한다. 빛깔이 흰솔로 재빨리 저어 다 튀기고 누르기 전에 퍼내어 까불러 쓴다. 청대콩, 신감초, 계핏가루, 잣가루, 송화, 흑임자 등을 묻히고 붉은 빛은 찰벼 튀긴 것을 가루로 만들어 지치 기름에 섞어 쓴다. 진나라 사람 환현이 서화를 손님에게 보이다가 강정 먹던 손으로 잡아 기름 자국이 난고로 혹 이르기를 한구는 강정이 아니라 전병류라 하는 이도 있다.
조리기구
고운 체, 홍두깨, 보자기
키워드
강정, 강졍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