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찰벼를 바싹 말려 밤이슬을 4~5일 맞춘 뒤 술에 축여 몸이 젖게 하여 하룻밤 지낸다. 2) 1)을 달궈진 솥에 넣고 수저로 젓다가 벼가 튀어 나가려 하면 채반으로 덮는다. 3) 벼가 다 튀겨지면 이를 까불러서 겨없이 한다. 4) 3)을 반상 위에 펴서 모양이 반듯하고 고운 것으로 가려 담는다. 5) 흰엿을 중탕하여 연사 바탕을 네모반듯하게 모양을 만들어 위에 즙을 발라 매화밥을 줄로 박고 가장자리에도 줄로 부친다. 6) 지치로 기름을 끓여 사기그릇에 편 뒤 밥이 고루고루 물이 들게 무쳐 줄로 박는다. - 100개 박으려면 찰벼 2말을 튀기고, 매화밥 간 것 3되면 홍백이 넉넉하다.
원문명
매화산자법 > 화산밥 > 매화산자법
원문
화산밥은 가 죠흔 찰벼를 오 말이어 밤 이실 사오일 맛쳐 슐에 츅여 몸이 졋기야 로 밤 지 후 숏쳘 달으며 벼을 너허 슈져로 져허 가며 튀여 나거든 반으로 덥허 튄 후 불너 겨 읍시 ▩ 반 우희 펴 모양이 반듯고 골씬 고은 것슬노 갈희여 담고 흰엿 즁탕며 연 바탕을 네모 반듯계 염졈여 우희 즙을 빌으고 화밥을 쥴노 박고 모의도 쥴노 붓지라 지치 죠흔 것스로 미름 혀 산완에 ▩밥을 고로 물이 들게 뭇쳐 쥴노 박으되 박아가지 고 치물 드리면 밥이 러져 물 아조 들텨 박음만 갓지 못니라 입 박으랴면 벼 두말만 튀고 화밥 갈희 것 셔되면 홍이 넉넉니라
번역본
매화산자법은 가장 좋은 찰벼를 바싹 말려 밤이슬을 4~5일 맞춘 뒤 술에 축여 몸이 젖게 하여 하룻밤 지낸다. 이것을 달궈진 솥에 넣고 수저로 젓다가 벼가 튀어 나가려 하면 채반으로 덮는다. 벼가 다 튀겨지면 이를 까불러서 겨없이 한다. 이것을 반상 위에 펴서 모양이 반듯하고 고운 것으로 가려 담는다. 흰엿을 중탕하여 연사 바탕을 네모반듯하게 모양을 만들어 위에 즙을 발라 매화밥을 줄로 박고 가장자리에도 줄로 부친다. 좋은 지치로 기름을 끓여 사기그릇에 편 뒤 밥이 고루고루 물이 들게 무쳐 줄로 박는다. 그러나 밥을 박은 뒤에 지치물을 들이면 밥이 떨어져 물을 아주 들여 박음 것만 같지 못하다. 100개 박으려면 찰벼 2말을 튀기고, 매화밥 간 것 3되면 홍백이 넉넉하다.
조리기구
솥, 수저, 채반, 반상, 사기그릇
키워드
매화산자법, 찰벼, 흰엿, 매화밥, 매화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