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자의 바탕은 강정과 같이 하되 크고 네모 반듯하게 썰어 말린다. 2) 1)을 튀기는 방법은 강정과 같다. 3) 기름에 하나씩 넣고 자주 눌러가며 위가 편편하고 반듯하도록 지진다. 4) 찰벼를 오래 말리고 밤에 이슬 맞히기를 4~5일 한 다음 술에 축여 몸이 젖게 한 후 그릇에 담아 하룻밤 재운다. 5) 다음날 솥에 불을 세게 지피고 술에 적신 찰벼를 조금씩 넣고 주걱으로 저어가며 튀기는데, 벼가 밖으로 튀어나가면 채반을 덮고 튀긴다. 6) 키로 까불어 겨를 제거하고 소반위에 펴서 모양이 반듯하고 가운데 부분이 골진 것을 골라 그릇에 종이를 깔고 담는다. 7) 굵은 잣을 말린 다음 잘 드는 칼로 가운데를 쪼갠다. 8) 통노구에 물을 끓이고 희고 고운 엿과 꿀을 섞어 놋그릇에 담아 녹인 후 잠깐 조린 다음 물에 중탕한다. 9) 대나무를 얇게 깎아 산자 바탕을 네모 반듯하게 다듬고 즙을 바른 다음 매화밥을 곱게 박는다. 10) 손에 백지를 대고 받쳐 뒤집은 후 다시 박는다. - 즙이 너무 많으면 틈으로 즙이 흘러나와 지저분하고 매화밥 줄이 반듯하지 못하면 모양이 단정치 못하다. - 붉은 산자를 만드려면 기름을 끓인 다음 지치를 넣고 알맞게 두었다가 꺼낸 후 사기 대접에 기름을 옮겨 담고 매화밥을 넣어 고루 묻혀 붉은 물을 들여 박으면 된다. - 잣의 위아래를 가지런히 하여 박아 써도 훌륭하다. - 흰색 매화만 박으려면 찰벼를 2말 튀기고 붉은 색 매화는 3~4되면 충분하다.
원문명
매화산자 > 화 > 매화산자
원문
바탕은 강졍과 치 흘기를 크고 네모가 반게 야 뇌여 추겨 지〃기 강졍과 치 나식 노코 쟈로 눌러가며 급히 니러 통긔지 아니고 우희 편고 반게 지〃고, 장 됴흔 벼를 이 뇌여 밤이면 이 마치기를 오일 야 술의 추겨 몸이 젓게 야 그 아 밤이 디난 후 솟 블을 일변 오며 축인 벼 쟉〃너코 수게로 저으면 튀여나거든 반으로 덥허 튀온 후, 키로 블나 겨 업시 고, 반 우희 펴고 모양이 반고 가온대 골진, 고은 거 여 그 죠희 펴고 담고, 굵은 자 뇌여 드 칼노 부서지〃아니케 가온를 긘 후, 퉁노고의 믈을 히고 별노 희고 고은 당흰엿과 쳥을 섯거 놋그 아 녹여 잠간 조린 후, 노고 믈의 듕탕고, 대를 얇게 가 산바탕 면을 고이 념졍야 우희 즙을 르고 화밥 골진 거 줄을 다혀 례로 박고 지를 바쳐 뒤집어 박고 모흘 다 줄노 곱고 졍히 박으, 즙이 만흐면 틈으로 나 추고, 항녈이 어러오면 브졍니라. 지초를 여 기을 몬져 히고 녀허 마초 낸 후, 큰 사완의 고 화밥을 너허 고로〃무쳐 블근 산를 그러케 박으, 박은 후 물을 드리면 다 옴고 밥이 려져 (다옴고), 물드려 박으니만 못니라. 샹하를 론이 화 박면 곱고 빗나고 소담기 산듕 졔일이니라. 닙만 박으랴면 벼 두 말 튀고, 화 흰 것 섯거 되면 홍이 넉〃니라.
번역본
기본은 강정과 같이 하는데 썰기를 크고 네모가 반듯하게 하여 말려서 다시 튀겨 지지기를 강정과 같은 방법으로 하는데 하나씩 놓고 자주 눌러가며 위가 편편하고 반듯하게 지진다. 제일 좋은 찰벼를 오래 말리어 또 밤이면 이슬을 맞히기를 4~5일 하여 술에 적혀 그릇에 담아 밤을 재운다. 이튿날 솥에 불을 세게 하여 적신 찰벼를 조금씩 넣고 주걱으로 저어 튀어나면 채반으로 덮는다. 키로 까불러 겨를 없애고 소반위에 펴서 모양이 반듯하고 가운데 골진 것을 그릇에 종이를 깔고 담는다. 굵은 잣은 말려 잘 드는 칼로 부서지지 않게 가운데를 쪼갠 후 통노구에 물을 끓이고 유난히 희고 고운 엿과 꿀을 섞어 놋그릇에 담아 녹여 잠깐 졸인 후 맹물에 중탕한다. 대나무를 얇게 깍아 산자바탕 사면을 곱게 반듯하게 다듬어 위에 즙을 바르고 매화밥을 골진 서을 줄을 대어 차레로 넣고 백지를 손에 받쳐 또 뒤집어 넣는다. 그리고 네모를 줄로 곱고 깨끗하게 넣는다. 즙이 많으면 틈으로 흘러나와 지저분하고 줄이 반듯하지 못하면 모양이 깨끗하지 못하다. 잣의 위아래를 가지런히 하여 매화를 만들어 소담스럽기가 산자중의 산자이다. 흰 매화만 만들려면 찰벼를 2말을 튀기고 홍백 매화를 만들려면 3~4되면 넉넉하다.
조리기구
솥, 주걱, 채반, 소반, 칼, 놋그릇, 키, 대나무
키워드
매화산자, 화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