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술> 1) 정월 첫 해일에 백미 2말을 여러 번 씻어 가루 낸다. 2) 물을 쌀 되는 되로 같은 비율로 하여 쪽박을 띠우고 적당하게 끓여 가루에 고루 퍼 부어 주걱으로 갠다. 3) 하룻밤 재워 밑까지 차게 식은 후에 누룩가루를 체로 쳐서 3홉을 넣고, 밀가루 칠 홉을 넣어 고루 펼쳐 놓는다. 4) 항아리를 깨끗하게 닦아 멍석으로 싸고 짚불 사른 위에 엎는다. 5) 항아리 속에 짚내가 자옥할 때 일으켜 불티는 깨끗하게 씻는다. 6) 연기가 있는 채로 밑술을 넣어 단단히 밀봉하고 화기와 양기 없는 데 둔다. <덧술> 1) 두견화가 피면 백미 3말, 점미(찹쌀) 3말을 여러 번 씻어 각각 맑은 물에 담갔다가 다시 맑은 물에 헹궈 건져 찐다. 2) 물을 쌀을 되는 되로 60되 되게 놓는다. 3) 메밥에는 물을 많이 넣어 밥을 푹 찌고, 찰밥에는 물을 뿌려 푹 찐다. 4) 찰밥은 즉시 헤쳐 식히고 메밥은 소반에 퍼 덮어 놓는다. 5) 지에밥에 주고 남은 물을 더 끓였다가 또 메밥에 물을 2~3박이나 퍼 주어 덮어 둔다. 6) 밥에 물을 스며들고 김이 들었거든 돗자리에 고루 헤쳐 식힌다. 7) 온기가 없어지면 밑술을 내어 메밥과 찰밥을 각각 그릇에 버무린다. 8) 밑술이 적고 밥이 많아 고루 버무리기 어려우면 끓인 물을 식혀 서늘하게 식힌 후에 밑술에 덜어 탄다. 9) 2가지 밥을 각각 고루 버무려 메밥 한 켜, 찰밥 한 켜, 꽃 한 켜 놓고 맨 위에는 메밥 버무린 것을 덮는다. 10) 쌀과 같은 비율로 하여 끓인 물을 밥에 같이 버무린다. - 물을 1사발 즈음 남겼다가 버무린 그릇을 모두 씻어서 다 붓는다. 11) 두견화는 여의(꽃술) 없이 깨끗하게 다듬어 술에 1말을 넣는다. - 너무 많이 넣으면 빛이 붉어진다. 12) 켜켜이 가운데로 넣었다가 2~3주가 지난 후에 밤에 들쳐보아 심지에 불을 켜 독 속에 넣어 본다. - 덜 되었을 때는 불이 꺼지고, 다 되었을 때는 꺼지지 않는다. 13) 위에 뜬 찌꺼기를 고이 걷어내고 가운데를 잘 헤치면 청주가 용출한다. - 개암이(개야미) 꽃(진달래꽃)이 잠속 뜨고 향취가 좋다.
원문명
두견주 > 두견쥬 > 두견주
원문
졍월 쳣 일에 미 두 말 셰야 작말허고 물을 되인 되로 슈를 갓치 되야 죡박 히고 고붓지게 히 가로에 고로 펴 부어 쥬걱으로 여 로밤 와 밋지 어름가치 식은 후 국말을 무슈히 이슬 마쳐 여 빗치 보희도록 야 깁쳬에 뇌야 되 서 홉을 너코 진가로 칠홉 너허 고로 버을려 항을 졍히 울엿다가 공셕으로 싸고 집불 살은 우희 업허 항 속의 집가 옥헐 졔 니륵켜 불틔 졍히 씻고 연긔 인로 슐밋 너허 이 봉허고 화긔와 양긔 업 두엇다가 두견화 퓌거든 미 서 말 졈미 서 말 번 서 각각 은 물에 담갓다가 다시 은 물에 헤워 건져 고 물을 되 단 되로 뉵십긔 되야 노코 뫼밥의 물을 슬컷 주어 밥이 업시 고 밥의 물을 오륙 승이나 려 쥬어 야 밥은 즉시 헤쳐 식이고 뫼밥은 소의 퍼 덥허 노코 지에예 주고 남은 물을 다 고붓지게 혓다가 뫼밥 소라의 물을 두세박이나 퍼 쥬어 덥허두엇다가 밥이 물을 마시고 김이 드럿든 삿자리에 고로 혜쳐 식여 온긔 업거든 슐밋슬 야 뫼밥과 밥을 각각 그르세 버무리되 밋치 젹고 밥이 만하 고로 버무리기 어렵거든 그 힌 물도 식여 서 후 술밋헤 더러 타고 두 가지 밥 각각 고로고로 버무려 뫼밥 켸 밥 켸 켸 노코 우흔 뫼밥 버무린 거 덥니 슈와 갓치 되야 힌 물은 다 밥의 버무리고 물을 사발 즈음 남겻다가 버무린 그릇 죄 부싀여 다 부으라 두견화 여의(술이라) 업시 졍이 다듬어 슐 졔의 말 녀흐라 너모 만흐면 빗치 북니 켸켸 가온로 녀헛다가 이칠이 칠이 지 후에 들셔 보아 밤의 심지의 불을 혀 독 속의 녀허 보면 덜 되면 불이 지니 다 되면 아니 지니 우흔 얇게 고이 것고 가온를 잘 헤치면 쳥주가 용츌며 암이와 치 잠속 고 향가 긔이니라
번역본
정월 첫 해일에 백미 2말을 여러 번 씻어 가루 낸다. 그리고 물을 쌀되는 되로 수(數)를 같게 하여 쪽박을 띠우고 적당하게 끓여 가루에 고루 퍼 부어 주걱으로 갠다. 그런 후에 하룻밤 재워 밑까지 얼음같이 식은 후에 국말을 무수히 이슬 맞추어 바래여 빛이 보이도록 하여 깁체로 쳐서 3홉을 넣고 진가루 7홉을 넣어 고루 벌려 놓는다. 항아리를 깨끗하게 우렸다가 공석으로 싸고 짚불 사른 위에 엎어 항아리 속에 짚내가 자옥할 때 일으켜 불티는 깨끗하게 씻고 연기는 있는 채로 술밑을 넣어 단단히 봉하고 화기와 양기 없는 데 둔다. 두었다가 두견화가 피거든 백미 3말, 점미(찹쌀) 3말을 여러 번 씻어 각각 맑은 물에 담갔다가 다시 맑은 물에 헹궈 건져 찐다. 그리고 물을 쌀 되 단 되로 60되 되게 놓고 메밥에는 물을 실컷 주어 밥을 뼈 없이 찌고, 찰밥에는 물을 5~6승이나 뿌려 주어 꽤 쪄 낸다. 찰밥은 즉시 헤쳐 식히고 메밥은 소래에 퍼 덮어 놓고 지에에 주고 남은 물을 다 끓였다가 또 메밥에 물을 두세 박이나 퍼 주어 덮어 두었다가 밥이 물을 마시고 김이 들었거든 삿자리에 고루 헤쳐 식혀 온기가 없어지거든 술밑을 내어 메밥과 찰밥을 각각 그릇에 버무린다. 밑이 적고 밥이 많아 고루 버무리기 어렵거든 그 끓인 물도 꽤 식혀 서늘하게 식은 후에 술밑에 덜어 타고 2가지 밥을 각각 고루 버무려 메밥 한 켜, 찰밥 한 켜, 꽃 한 켜 놓고 맨 위에는 메밥 버무린 것을 덮는다. 쌀 수와 같이 하여 끓인 물을 다 밥에 한데 버무리고 물을 1사발 즈음 남겼다가 버무린 그릇에 모두 씻어서 다 붓는다. 두견화는 여의(꽃술) 없이 깨끗하게 다듬어 술에 1말을 넣는다. 너무 많으면 빛이 붉어진다. 켜켜이 가운데로 넣었다가 2~3주가 지난 후에 들쳐보아 밤에 심지에 불을 켜 독 속에 넣어 보면 덜 되었을 때는 불이 꺼지고, 다 되었을 때는 꺼지지 않는다. 위를 얇고 고이 걷어내고 가운데를 잘 헤치면 청주가 용출하며 개암이(개야미) 꽃(진달래꽃)이 잠속 뜨고 향취가 좋다.
조리기구
깁체, 항아리, 소래, 독
키워드
두견주, 杜鵑酒, 멥쌀가루, 물, 밀가루, 백미, 점미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