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 200 g (3인분) 주재료] [설탕 0.333 컵 (3인분) 부재료] [물 0.5 컵 (3인분) 부재료]
조리법
1) 당근을 꽃 모양으로 썰고 물을 조금 붓고 살짝 삶는다. - 너무 삶으면 물러져서 맛도 모양도 흉하게 된다. 2) 물 분량이 많지 않도록 분량에 맞추어 따르고 설탕을 섞어서 조린다. - 당근 삶은 물은 깨끗하고 빛깔도 좋으므로 버릴 필요는 없다. - 갈색으로 만들 필요는 없고 당근의 붉은 빛깔을 살리면서 설탕이 녹아 조려져 엉기도록 한다. - 이상의 정과에는 나중에 설탕을 뿌릴 필요는 없다. 조리는 시간이나 설탕이 적었을 때는 나중에 위에 설탕을 뿌려야 되겠지만 그럴 필요가 없도록 처음부터 분량을 잘 맞추어서 조리도록 한다. 혹시 투명하게 조려져서 설탕이 엉기지 않으면 설탕을 조금 보충해서 조리면 된다. - 정과를 만들 때 꿀을 조금 섞으면 윤이 나고 맛도 아주 좋아진다. - 조릴 때에 자주 저어 공기가 섞이게 되면 녹은 설탕이 다시 설탕처럼 되어 우수수 굳어지므로 자주 젓지 말아야 한다. 또한 정과 만들 때는 양념 냄새가 나지 않는 깨끗한 냄비를 사용해야 한다. - 설탕이 너무 진하면 식은 후에 뗄 수가 없고 너무 딱딱하게 된다.
원문명
당근정과 > 당근전과 > 당근정과
원문
(3인분) (당근 200g, 설탕 1/3컵, 물 1/2컵) 열량 681Cal, 단백질 15.2g 꿀로 조리면 맛도 좋고 조리기도 쉬우나 여기서는 설탕조리는 법으로 한다. a. 당근은 꽃모양으로 썰어서 물은 조금 붓고 살짝 삶는다. 너무 삶으면 힘이 없어서 맛도 모양도 흉하다. b. 당근 삶은 물은 깨끗하고 당근도 깨끗한 빛깔이므로 버릴 필요는 없다. 물의 분량이 많지 않도록 분량에 맞추어 따르고 설탕을 섞어서 조린다(생강전과의 요령으로). 갈색으로 할 필요는 업고, 당그느이 빨간 빛깔을 살리면서 설탕이 녹아 조려져 엉키도록 한다. 주)이상의 전과는 모두 나중에 설탕을 뿌릴 필요는 없다. 조리는 시간이나 설탕이 적어졌을 때 나중ㅇ 위에 설탕을 뿌리게 되므로 그럴 필요가 없도록 분량을 맞추어서 조린다. 혹 설탕이 투명하게 조려져서 엉키지 않거던 설탕을 좀 보충해서 조리면 된다. 전과 만들 때 꿀을 조금 섞으면 윤이 나고 맛도 퍽 좋아진다. 전과를 조릴 때에 자주 섞어 공기가 섞이면 녹은 설탕이 다시 환원되어 설탕모양으로 우수수 굳어지므로 자주 젓지 말도록 조심하여야 한다. 전과 만들 때는 양념 냄새가 없는 남비를 선택하여야 한다. 설탕이 너무 진하면 식은 후에 뗄 수가 없고 너무 딱딱하게 된다.
번역본
재료(3인분) 당근 200g, 설탕 1/3컵, 물 1/2컵 열량 681Cal, 단백질 15.2g 꿀로 조리면 맛도 좋고 조리기도 쉬우나 여기서는 설탕을 넣고 조리는 방법을 소개한다. 1) 당근을 꽃모양으로 썰고 물을 조금 붓고 살짝 삶는다. 너무 삶으면 물러져서 맛도 모양도 흉하게 된다. 2) 당근 삶은 물은 깨끗하고 빛깔도 좋으므로 버릴 필요는 없다. 물 분량이 많지 않도록 분량에 맞추어 따르고 설탕을 섞어서 조린다(생강정과와 같은 요령으로). 갈색으로 만들 필요는 없고 당근의 붉은 빛깔을 살리면서 설탕이 녹아 조려져 엉기도록 한다. 주) 이상의 정과에는 나중에 설탕을 뿌릴 필요는 없다. 조리는 시간이나 설탕이 적었을 때는 나중에 위에 설탕을 뿌려야 되겠지만 그럴 필요가 없도록 처음부터 분량을 잘 맞추어서 조리도록 한다. 혹시 투명하게 조려져서 설탕이 엉기지 않으면 설탕을 좀 보충해서 조리면 된다. 정과를 만들 때 꿀을 조금 섞으면 윤이 나고 맛도 아주 좋아진다. 조릴 때에 자주 저어 공기가 섞이게 되면 녹은 설탕이 다시 설탕처럼 되어 우수수 굳어지므로 자주 젓지 말아야 한다. 또한 정과 만들 때는 양념 냄새가 나지 않는 깨끗한 냄비를 사용해야 한다. 설탕이 너무 진하면 식은 후에 뗄 수가 없고 너무 딱딱하게 된다.
조리기구
냄비
키워드
당근전과 , 당근, 설탕, 정과, 물, 당근정과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