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백과사전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낙산춘
  • 낙산춘

    식품코드 10685
    분류 주류 > 양조곡주 > 순곡주류
    문헌명 주찬(酒饌)
    저자 저자미상
    발행년도 1800연대초엽
    IPC C12G 3/02, C12G 3/00
    DB구축년도 2011

h2mark 식재료

[쌀 5 말 <밑술> 주재료] [거친 누룩가루 5 되 <밑술> 주재료] [물 15 병 <밑술> 부재료] [쌀 5 되 <덧술> 주재료]

h2mark 조리법

<밑술 빚기>(정월 첫해일: 亥日) 1) 쌀 5말을 깨끗이 씻어 물에 담그고, 거친 누룩가루 5되를 5병의 물에 담가 둔다.
2) 다음날 물에 담갔던 쌀은 가루 내어 떡을 만들어 찐다.
3) 물에 담갔던 누룩은 체로 받쳐서 찌꺼기는 버리고, 새로 길은 물 10병에 섞어 독에 넣는다.
4) 동쪽을 향한 복숭아나무 가지로 3)을 여러 번 휘저어 기름먹인 자루로 단단히 밀봉한 후, 베 보자기로 다시 밀봉해 헛간에 둔다.
5) 거품이 뜨면 걷어 버린다.
<덧술 빚기>(2월 말경) 1) 쌀 5되를 위와 같이 깨끗이 씻고 밥을 쪄서 앞서 빚은 밑술에 덧술한다.
3) 늦봄이나 초여름이면 술 위로 밥알이 뜨고 빛깔과 맛도 진하며 향기도 강해진다.
- 쓸 때 날 물은 넣지 않는다.
- 위의 방법은 술 10말을 빚을 때이며, 많거나 적게 할 때에는 여기에 준해서 한다.
- 정월 첫 해일이 너무 따뜻하면 밥과 떡을 차게 식히고, 날씨가 추우면 해일을 지나서 빚어도 무방하다.
- 오지병에 넣어 햇볕이 들지 않는 곳에 묻어 두면 여름 3개월이 지나도 맛이 변하지 않는다.

h2mark 원문명

낙산춘 > 樂山春 > 악산춘

h2mark 원문

元月上亥日,白米五斗潔沈水,曲末五升,以五水沈之,翌搗沈米作末而作熟烝,篩沈曲去滓,以新汲水十相調入瓮,取東向桃枝攪之再三後,以油堅封,又以布加封,置廳。或有浮,每每拯去,至二月晦間,五斗米如前淨潔烝飯以添,待春末夏初浮蟻,色濃味甚薰烈,用時勿令生水氣入之。此乃十斗釀法,其多少則以此推之。正月上亥日,暄煖則飯及待冷,或日寒則過亥日釀之,亦無妨。久用則入陶,埋不見陽處,則雖經三夏,其味不變。

h2mark 번역본

정월 첫 해일(亥日)에 쌀 5말을 깨끗이 씻어 물에 담그고, 거친 누룩가루 5되를 5병의 물에 담가 둔다. 다음날 물에 담갔던 쌀은 가루 내어 떡을 만들어서 쪄서 익힌다. 물에 담갔던 누룩은 체로 받쳐서 찌꺼기는 버리고, 새로 길은 물 10병에 섞어 독에 넣는다. 이것을 동쪽을 향한 복숭아나무 가지로 여러 번 휘저어 기름먹인 자루로 단단히 봉한 후, 베 보자기로 다시 봉해서 헛간에 둔다. 거품이 뜨면 그 때마다 걷어 버린다. 2월 말경이 되면 쌀 5되를 위와 같이 깨끗이 해서 밥을 쪄서 덧넣는다. 늦봄이나 초여름이면 술개미가 뜨고 빛깔과 맛도 진하며 향기도 강해진다. 쓸 때 날 물은 넣지 않는다. 이상은 술 10말을 빚을 때이며, 많거나 적게 할 때에는 여기에 준해서 한다. 정월 첫 해일이 너무 따뜻하면 밥과 떡을 차게 식히고, 날씨가 추우면 해일을 지나서 빚어도 무방하다. 오래 두고 쓰려고 한다면, 오지병에 넣어 햇볕이 들지 않는 곳에 묻어 두면 여름 3개월이 지나도 맛이 변하지 않는다.

h2mark 조리기구

체, 독, 복숭아나무 가지, 기름먹인 자루, 베 보자기, 오지병

h2mark 키워드

낙산춘, 樂山春, 악산춘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
동의보감 8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역사정보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