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흑두 5되를 씻고 세 번을 쪄서 볕에 말린 다음 껍질을 제거하고 가루로 만든다. 2) 대마자를 탕에 담가 하루를 재워 건져내어 볕에 말렸다가 3번을 쪄서 입이 벌어지게 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가루로 만든다. 3) 1)과 2)를 찹쌀죽으로 반죽하여 고루 찧어서 주먹 크기의 단(團)을 만들어 다시 시루에 넣고 찐다. 3) 초저녁서 밤중까지 불을 지펴두었다가 아침[寅時]에 꺼내어 자기에 담아 뚜껑을 덮어 바람이 들어가 마르지 않게 한다.
유경선(劉景先)이 흑두(黑豆)를 복용하던 방법은 경선(景先)은 영령(永寧 후한(後漢) 안제(安帝)의 연호) 중엽의 황문시랑(黃門侍郞)이었는데, 이 처방(處方)을 태백산 은사(太白山隱士)에게서 전해 받았다고 한다. 흑두(黑豆) 5되를 씻고 세 번을 쪄서 볕에 말린 다음 껍질을 제거하고 가루로 만들고, 대마자(大麻子, 《거가필용》에는 “대화마자((大火麻子)라” 하였고, 《고사촬요》에는 “세속에서는 호임(虎荏)이라 하나 자세하지 않다.” 하였다. 어떤 사람은 “함경도(咸鏡道)의 마자(麻子)로 대용한다.” 하였다. 3되 5되라고도 한다. )를 탕(湯)에 담가 하루를 재워 건져내어 볕에 말렸다가 세 번을 쪄서 입이 벌어지게 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가루로 만든다. 그리고 찹쌀죽으로 반죽하여 고루 찧어서 주먹 크기의 단(團)을 만들어 다시 시루에 넣고 찌되 초저녁서 밤중까지 불을 지펴두었다가 아침[寅時]에 꺼내어 자기(磁器)에 담아 뚜껑을 덮어 바람이 들어가 마르지 않게 해놓고는 매번 한두 덩이를 먹되 배부른 것으로 한도를 삼는다. 그리고 일체 다른 음식을 먹어서는 안 된다. 한 번 실컷 먹으면 7일간 밥을 안 먹어도 되고 두 번 실컷 먹으면 49일을 안 먹어도 되며 세 번 실컷 먹으면 1백 일간 안 먹어도 되고 네 번 실컷 먹으면 영원히 안 먹어도 배고프지 않은데 용모(容貌)는 좋아지고 다시 초췌해지지 않는다. 목마르면 대마자(大麻子)를 갈은 즙을 마시어 장부(臟腑)를 윤택하게 한다. 만약 다른 것을 또 먹어야 할 경우에는 규채탕(葵菜湯)을 먹어서 풀어야 한다. 혹 규자(葵子) 3홉을 찧어서 전탕(煎湯)으로 만들어 냉복(冷服)하여도 좋다. 다른 처방(處方)에는 백복령(白茯) 5냥을 함께 쓴다고 되어 있다. 《동의보감》 《고사촬요》 《구황촬요》
조리기구
시루, 자기
키워드
흑두, 黑豆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