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귤음(香橘飮) 기(氣)가 허약해서 생기는 현기증을 치료한다
목향(木香)ㆍ백출(白朮)ㆍ반하국(半夏麴)ㆍ진피(陳皮)ㆍ백복령(白茯)ㆍ사인(砂仁) 【각각 5돈】, 정향(丁香)ㆍ감초(甘草) 【구운 것, 각각 2돈 반】
위의 약들을 잘라서 매번 3돈을 복용하되, 생강〔薑〕 5쪽〔片〕을 넣고 달여 소합원(蘇合圓)과 함께 복용한다
【《옥기미의(玉機微義)》〔玉機〕 〈현훈문(眩暈門)〉에 나온다
○다른 처방
향부자(香附子)ㆍ반하(半夏)ㆍ진피(陳皮) 각각 1냥, 감초(甘草) 구운 것 7돈 반
위의 약에서 매번 5돈을 복용하는데 향귤탕(香橘湯)이라고 부른다
본방(本方 향귤음)에 천궁〔芎〕ㆍ당귀(當歸)〔歸〕 각각 7돈 반, 계(桂) 5돈을 첨가하여 혈허증(血虛症)을 치료한다.】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