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문화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칡
  • 식품코드 104457
    분류 기타 > 기타 > 기타
    발행기관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학술지명
    발행년 2015
    권호

h2mark 문헌(논문)명

한국 야생초차의 효능에 대한 문헌정리

h2mark 저자

박세원

h2mark 내용


전통의학, 민간요법에서의 활용: 한방에서는 뿌리(갈근, 葛根), 새순(갈용, 葛茸), 꽃(갈화, 葛花), 씨앗(갈곡, 葛穀)이라 하며,(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땀을 나게 하고, 열을 내리며, 체액을 생성시켜 주는 주독(酒毒)을 풀어주는 탁월한 효능의 약초이다
진액을 생성되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허약해서 발생하는 갈증은 갈근이 아니면 멈출 수가 없다고 한다
술로 생긴 질병이나 갈증이 있을 때에 사용하면 좋다고 한다
또한 발표(發表)하는 작용이 있어 열 때문인 피부질환을 개선한다
감기 때문에 근육이 뭉친 증상과 뒷목과 등이 뻣뻣한 통증, 두통, 전신통에 효과적이다
소화기 허약으로 말미암은 설사도 치료한다
그러나 소화기가 차가워서 구토하는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박정아, 2014) 민간에서는 뿌리가루를 녹말과 섞어서 열내림약을 만들어 먹기도 하고 자루에 넣고 치댄 후 전분으로 만들어 묵이나 국수로 먹는다
또한 연한 순은 나물이나 덖어 차로 먹고, 쌀과 섞어서 칡밥을 지어 먹기도 한다
즙을 짜내어 마시는 등 이렇게 칡은 오래 전부터 구황작물로 식용되었고 자양강장제 등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장준근, 1996)

h2mark 시작 P

h2mark 종료 P

h2mark 분류

풍습(의료)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2
동의보감 17
한방백과 7
학술정보 8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8
역사정보 1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