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황기산(人參黃耆散) : 황기(黃耆)는 황기(黃)와 통용되므로 인삼황기산(人蔘黃散)이라고도 한다
인삼황기산(人蔘黃散) 처방에 관해서 《동의보감》 잡병편 권4 〈허로〉에는 《득효방》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허로로 인해서 생긴 객열ㆍ조열ㆍ도한ㆍ담수와 침에 피고름이 묻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별갑〈연유를 발라 구운 것〉 1돈 반, 천문동 1돈, 진교ㆍ시호ㆍ지골피ㆍ생건지황 각 7푼, 상백피ㆍ반하ㆍ지모ㆍ자원ㆍ황기ㆍ적작약ㆍ감초 각 5푼, 인삼ㆍ백복령ㆍ길경 각 3푼
위의 약재들을 썰어서 달여 먹는다
..
...治虛勞 客熱 潮熱 盜汗 痰嗽 唾膿血 鼈甲炙一錢半 天門冬一錢 秦 柴胡 地骨皮 生乾地黃 各七分 桑白皮 半夏 知母 紫 黃 赤芍藥 甘草 各五分 人蔘 白茯 桔梗 各三分 右 煎服...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