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동일하게 12품이지만 《가례》에 비해 포와 젓갈에서 1품을 첨가한 것이고 채소 절임과 나물에서 1품을 첨가한 것이다 《家禮 卷5 祭禮》 《星湖全集 卷40 金沙溪疑禮問解辨疑, 韓國文集叢刊 199輯》 사계(沙溪) 조선 선조(宣祖)......에다 담는 것이므로 합하여 6품이 됩니다 채소와 나물, 식해(食)와 염해(鹽)를 합하여 6품이 되니, 6변()과 6두(豆)를 차린다는 글에 맞게 됩니다 6변도 참람한 것이지만, 대략 《가례》에 의거하여 조절하였습니다 저희......안에서는 고례에 의거하여 포는 과품(果品)의 줄에 진설하되 소금에 절여 말린 어포와 함께 남쪽에 자리하고, 젓갈은 채소와 나물의 줄에 진설하되 식해와 함께 그다음에 둡니다 이것이 예법에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가례》에서 제기(祭器)......입니다 그러므로 이날에는 술을 마시거나 고기를 먹지 않습니다 미리 재계(齋戒)를 하는 것은 냄새나는 채소를 먹지 않는 것 따위입니다 재계는 소식(素食)을 먹는 것과 같지 않습니다 기제(忌祭)를 지낸 뒤 3일 동안 소식을 먹는다......공식대부례(公食大夫禮)〉에 “대갱읍은 소금과 채소를 넣지 않고, 등에 담는다.〔大羹 不和 實于〕”라는 말이 나온다 대갱읍은 고기를 삶아서 우려낸 국물이다 등()은 국을 담는 그릇인데, 모양은 미상이다 향(), 훈(),...
시작 P
서(書)
종료 P
안백순에게 답하는 편지 신미년(1751, 영조27) 〔答安百順 辛未〕
분류
혼례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