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位)마다 밥〔飯〕 4종류〔色〕, 떡〔餠〕 6종류, 젓갈〔〕 4종류, 채소절임〔菹〕 3종류, 과일〔果〕 5종류, 포(脯) 5가지〔條〕, 대구어(大口魚) 3미(尾), 죽순(竹筍) 1두(豆), 소금〔鹽〕 1변(), 형갱(羹)..... 위와 같다 과일, 포, 채소절임, 젓갈 각각 1기(器), 돼지의 생고기 1갑, 술 1작이다 - 구 《태상지》 ○ 봉상시(奉常寺) 제물 단자(祭物單子)는 다음과 같다 백미(白米) 1말(斗) 8되(升)가 들어간 분자병(粉餠) 백..... 경우에는 4냥촉 8정, 5냥촉 4정, 8냥촉 2정, 조촉(照燭) 1정이다 황법밀(黃法蜜) 6냥, 기름〔油〕 6홉이 들어간 조등(照燈) ○ 기고 제물 단자는 다음과 같다 밥과 폐백〔幣〕은 위와 같다 과일, 포, 채소절임, 젓갈은...
시작 P
식례(式例)
종료 P
제물(祭物) 기곡제(祈穀祭)는 친행(親行)의 경우에 춘추 제향(春秋祭享)과 같고, 섭행(攝行)의 경우에는 기고제(祈告祭)와 같다. 《속오례의》
분류
궁중음식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