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백원(溫白圓) 심복(心腹)에 적취(積聚), 징가(癖)가 있어서, 수 년 동안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천오(川烏) - 1냥 반 -, 오수유(吳茱萸) - 끓인 물에 7번 담갔다가 불기운에 말리고 볶은 것 - ㆍ길경(桔梗)ㆍ시호(柴胡)ㆍ창포(菖蒲)ㆍ자완(紫) - 싹과 흙잎은 제거한 것 - ㆍ황련(黃連)ㆍ건강(乾薑) - 구운 것 - ㆍ육계(肉桂)ㆍ천초(川椒) - 입이 닫힌 것을 빼고 기름이 나오게 볶은 것 - ㆍ인삼(人參)ㆍ후박(厚朴)ㆍ조협(莢) - 껍질을 제거하고 구운 것 - ㆍ복령(茯)ㆍ파두(巴豆) - 껍질과 심을 제거하고 기름이 나오게 볶아서 따로 간 것, 각 5푼 - 위의 약들을 가루내고 파두를 넣고 고루 섞은 뒤 꿀로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 다음 매번 30환씩 복용하는데 자소탕으로 넘긴다 - 《득효방(得方)》, 《화제국방(和劑局方)》에 나온다 -
시작 P
종료 P
종창문 9 부록:수종 창만〔腫脹門 九 附 水腫脹滿〕
분류
궁중음식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