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쌀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한다
그리고는 궁궁(芎)ㆍ당귀(當歸)ㆍ백지(白芷)ㆍ신이(辛夷)ㆍ두충(杜沖)ㆍ백출(白朮)ㆍ고본(藁本)ㆍ목란(木蘭)ㆍ촉초(蜀椒)ㆍ관계(官桂)ㆍ건강(乾薑)ㆍ방풍(防風)ㆍ인삼ㆍ길경(桔)ㆍ백미(白薇)ㆍ형실(荊實)ㆍ비렴(飛廉)ㆍ백실(柏實)ㆍ백복령(白茯)ㆍ진초(秦椒)ㆍ미무(蕪)ㆍ육종용(肉蓉)ㆍ의이인(薏苡仁)ㆍ관동화(款冬花) 등 24가지를 사용하여 24절기에 응하게 하고, 거기에다...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