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문화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중박계
  • 중박계

    식품코드 104094
    분류 기호식 > 한과류 > 유밀과
    발행기관 한국고전번역원
    학술지명 한국고전종합DB
    발행년 1976~1978
    권호 성호사설 제4권

h2mark 문헌(논문)명

성호사설(星湖僿說)

h2mark 저자

이익(李瀷)

h2mark 내용

...국가 사전(國家祀典)에 중박계(中朴桂)ㆍ소박계(小朴桂)라는 약과(藥果)가 있다
나는 매양, “국가에 무엇이 부족해서 왜 대박계(大朴桂)는 만들지 않았던가”라고 의심하였다
그런데 고려 충선왕 때 사실을 상고하니, 백마ㆍ밀과(白馬蜜果)는 모두 본국의 풍속에 따랐다
지금 풍속에도 혼인 잔치에 한과(漢果)를 쓰는데, 신부에게는 대약과(大藥果)를 찬물로 놓는다
이 한과란 것은 박계의 유이고, 대약과란 것은 유밀과(油蜜果)인 것이다
추측컨대, 이 대약과란 것이 곧 대박계이고, 이 다음으로 중박계ㆍ소박계라는 구별이 있었던 까닭에, 지금 신부 집에서 쓰는 찬물을 박계라고 일컫는 듯하다
이는 모두 옛날 밀이(蜜餌)에서 전해진 제도인데, 여기에 대해서는 내가 별도로 적어 놓은 것이 있기 때문에 덧붙여 이야기하지 않는다....

h2mark 시작 P

만물문(萬物門)

h2mark 종료 P

혼례박계(婚禮朴桂)

h2mark 분류

제례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5
동의보감 173
한방백과
학술정보
건강정보 1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2
역사정보 1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