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이 젓갈, 처녑, 긴맛조개 젓갈, 대합조개 젓갈, 개미알 젓갈, 돼지 넓적다리, 어해가 있고, 가두에 담는 것으로는 미나리 절임, 토끼 젓갈, 심포 절임, 탐해, 큰 죽순 절임, 기러기 젓갈, 작은 죽순 절임, 어해가 있고......가례》에서는 채소와 포(脯)와 젓갈〔〕은 서로 사이를 두고 놓는다고 하였는데, 해인(人)의 직책을 근거로 하면 채소 절임〔〕과 젓갈의 종류는 두(豆)에 담는 것이고, 포는 변에 담는 것이다 가변(加)에 담는 것은 마름 열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니, 또한 포의 일종이다 이제 육포(肉脯), 어포와 4품의 과일을 나란히 진설하여 6품을 이루면 이것 역시 6변()이며, 또한 염해(鹽), 식해(食)와 4품의 채소 절임과 나물을 나란히 진설하여...
시작 P
잡저(雜著)
종료 P
제식〔祭式〕
분류
식생활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