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 시대에는 연석(갈돌),청동기 시대에는 고석(敲石,원시절구),초기 철기 시대에는 시루<®)가 출현하여 서 법t飯) 형태 이전 곡식의 조리는 죽류였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
죽은 곡물에 물을 6-7배 가량 붓고 오래 끓여서 녹말이 호화상태로 무르익게 만든 유동식으로서,한자어로는죽은 米 에 물을 북고 가열함으로써 해진 혀 에서 유래되었다.조선시대 임원십육지 내 의 粥記에서 “죽을 먹으면 위가 허 할 때 보(補)의 효과가 아주 좋아 음식의 최묘결(最妙訣)”이라 하였고 국조오례의 에는 “상례(喪때는 슬픔에 밥을 먹을 수 없으니 죽을 먹도록 한 것” 처럼, 초상등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께서도 서로를 위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식품이며 특히 소화기의 발달이 미숙한 유아들에게 가장 좋은 유아식,이유식,암죽 등으로 고문헌에 전해지는 것이 많다.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