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램프쿡 로고
    • 검색검색창 도움말
  •   
  • 전통식품 문화정보

  • SNS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 죽
  • 식품코드 104040
    분류 주식 > 죽류 > 죽
    발행기관 한국식품과학회
    학술지명 식품과학과 산업
    발행년 2003.12
    권호 36(4)

h2mark 문헌(논문)명

곡류 전통식품의 분류 및 범주 정의

h2mark 저자

이혜정 외 2명

h2mark 내용

신석기 시대에는 연석(갈돌),청동기 시대에는 고석(敲石,원시절구),초기 철기 시대에는 시루<®)가 출현하여 서 법t飯) 형태 이전 곡식의 조리는 죽류였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
죽은 곡물에 물을 6-7배 가량 붓고 오래 끓여서 녹말이 호화상태로 무르익게 만든 유동식으로서,한자어로는죽은 米 에 물을 북고 가열함으로써 해진 혀 에서 유래되었다.조선시대 임원십육지 내 의 粥記에서 “죽을 먹으면 위가 허 할 때 보(補)의 효과가 아주 좋아 음식의 최묘결(最妙訣)”이라 하였고 국조오례의 에는 “상례(喪때는 슬픔에 밥을 먹을 수 없으니 죽을 먹도록 한 것” 처럼, 초상등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께서도 서로를 위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식품이며 특히 소화기의 발달이 미숙한 유아들에게 가장 좋은 유아식,이유식,암죽 등으로 고문헌에 전해지는 것이 많다.

h2mark 시작 P

47

h2mark 종료 P

65

h2mark 분류

궁중음식
전통식품백과, 한방식품백과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료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 자료출처 바로가기

h2mark 더보기

식품사전 15
동의보감 168
한방백과 17
학술정보 2
건강정보
고조리서
지역정보
문화정보 3
역사정보 2

h2mark 관련글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향토음식 한반도통합본 후원금 모금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