엿과 조청의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의 시경(市警)과 역명(繹名)에 이미 제조되어졌다는 문헌상의 기록이 있으며, 중국의 농서인 제민요술(濟民要術) 에 기호식 또는 떡, 과자 등에 이용되었고, 고려시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에는 “행석맥락(杏錫麥酪)”이란 말이 나온다
석(錫)은 단단한 엿이고, 고려시대에도 엿기름으로 만든 엿이나 감주(甘酒)가 감미료로 쓰이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