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芥醬)이요, 미성(腥)에는 해장(醬)이요, 도저(桃諸)와 매저(梅諸)에는 난염(卵鹽)이다
- 나해(蝸)로부터 여기에 이르기까지 스물여섯 가지 음식물들은 아마 임금이 평상시 먹는 것인 듯하며, 그 반찬은 난부(亂膚)와 절육(......切肉)이다
부(膚)는, 어떤 본에는 반()으로 되어 있다
난염은 굵은 소금[大鹽]이다
卵은 반절이 력(力)ㆍ관(管)이다
- 무릇 밥[食齊]은 봄을 기준으로 하고, - 밥은 따뜻해야 하는 것이다
- 국[羹齊]은 여름을 기...
전통식품의 명칭(이명, 영문명 등), 출전문헌, 식재료 및 배합량, 조리법 등의 상세정보와 한의학적 병증에 따라 전통식품이 처방으로 활용된 기록, 한의학 고문헌이나 학술논문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건강기능 정보, 일반 고전문헌이나 학술논문들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식품의 지역, 역사, 문화 정보들을 제공한다.